6년은 꽤 긴 산통(産痛)이었다. 현란한 전자음과 제어불가의 가사로 잔뜩 채운 데뷔작 < 201 >과, 반대로 어쿠스틱 사운드를 전면에 내세워 망망대해를 표류하는 막막함과 고독을 녹여냈던 < Don't You Worry Baby >로 검정치마는 파격과 감성의 아이콘으로 인디 신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그 뒤 혁오와 같은 하이그라운드로 둥지를 옮겼다는 소식이 간간히 들려오던 중 < TEAM BABY >가 발매됐다.
신보에서 그가 그리는 세계는 사랑만이 존재하는 곳이다. 하지만 이 사랑엔 설렘이나 들뜬 열기 대신 미온과 쓸쓸함이 있다. 달콤한 사랑노래들과 달리 세상에서 벗어나 오직 단 둘만이 남는 공허하고 고립된 공간을 담는다. 대다수의 노래를 흔한 사랑이라는 주제로 채웠음에도 부담이 되거나 물리지 않는 이유는 특유의 건조한 질감에 있다.
첫 곡 ‘난 아니에요’는 술 취해 늘어놓는 자기 독백에 가깝지만 다음 곡 ‘Big love’는 상대를 향한 열띤 사랑고백이다. 이 두 곡은 음악적으로도 감정적으로도 분명 다른 색채를 가진다. 이 차이를 특정한 노이즈 소리가 잇는다. 앞 곡의 중심에서 휘몰아치듯 몽환을 더하는 요소로 사용됐던 소리를 ‘Big love’의 인트로까지 끌어오면서 넘김은 매끄럽고, 소리와 감정의 비약을 어느 정도의 공통점으로 희석한다. 드림 팝에서 밝은 분위기로 전환 후 이를 ‘Diamond’와 ‘Love is all’까지 끌고 간다.
또렷했던 소리들이 ‘나랑 아니면’부터 조금씩 부드러워지기 시작하며 신스 팝의 골조를 세운다. 앞서 중심에 있던 기타 소리들은 후면에 놓이고, 그 자리에 현악기와 보컬 코러스가 고루 깔리며 포근한 소리로 뒤바뀐다. 말랑한 사운드와 달리 꾸밈없는 가사가 노래의 매력을 배가한다. ‘나랑 아니면’에서 처음 등장하는 ‘야 나랑 놀자’, ‘혜야’의 ‘난 너랑 있는 게 제일 좋아’ 같은 가사들이 그렇다.
앞으로의 3부작 프로젝트를 알리는 첫 발인 이 앨범의 핵심은 사랑이다. 그래서 여기엔 오로지 사랑을 하는 나와 너만 있다. 조휴일은 ‘나를 기다린 줄 알았던 사람들은 떠나가고 다시 우리 둘만 남았네’(‘Love is all’), ‘내 노래가 멈춘 뒤엔 모두 떠나가고 또 너와 나 둘만 남겠지’(‘폭죽과 풍선들’)라는 가사들로 이 사실을 끊임없이 재확인한다. 그렇게 둘만의 울타리는 견고해지고 말 그대로 ‘사랑이 전부’가 된다. 이질감 없는 대중적 사운드가 듣는 이에게 효과적으로 다가와 이를 융화하나 그만의 독특함을 저해하지는 않는다. 세상에서 한 발 비켜 선 이들이 만드는 사랑은 이토록 외롭고 애틋하며, 그래서 더 로맨틱하다.
-수록곡-
1. 난 아니에요
2. Big love [추천]
3. Diamond
4. Love is all [추천]
5. 내 고향 서울엔
6. 폭죽과 풍선들
7. 한시 오분(1:05) [추천]
8. 나랑 아니면 [추천]
9. 혜야 [추천]
10. Every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