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이미지
Nice Dream
러브홀릭(Loveholic)
2006

by 이민희

2006.04.01

러브홀릭은 팝과 록을 동시에 취한다. 러브홀릭, 즉 사랑중독이라는 이름에서 사랑의 기쁨은 팝으로 묘사하고, 중독이라는 아픔의 절제된 표현은 록이 맡는다. 베이시스트 이재학과 기타리스트 강현민이 뽑은 예쁜 멜로디와 지선의 보컬은 친근한 팝의 감수성에 깊게 밀착하고, 전체적인 곡 완성에 있어 (모던)록 연주의 질감을 살려 음악의 수준을 높인다. 러브홀릭을 주목하고 기대하는 것은, 유행가 스타일을 유지하면서도 직접 만들고 연주하는 음악의 격이 살아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세간에서 1집은 대중성, 2집은 작품성에 주안점을 두었고, 최근 발표한 3집은 1집과 2집의 절충이라고 평가하는 이유도 그와 연관이 있을 것 같다. 대놓고 상업적인 음악, 반대로 현실배타적인 예술에 이런 관점과 관점의 이동은 적용되지 않는다. 러브홀릭이 주로 밀어왔던 음악은 보통 맑고 찬란했지만, 잘 들리고 잘 불리는 노래인 동시에 동시에 잘 만든 노래로 뮤지션의 자존심을 지켜야 한다는 고집을 느낄 수 있었다. 팝과 록, 둘 다 살려야 한다는 고민을.

세 번째 앨범 < Nice Dream > 역시 잘 들리고, 또 공들여 만든 게 티나는(?) 곡들이 포진해 있다. 타이틀 곡 '차라의 숲'을 비롯해서 '일요일 맑음' 'TV' 'Run' 등은 1집 히트곡 'Loveholic'의 흡인력을 닮아 있다. 기승전결을 꼼꼼하게 지켜 자연스럽고 유려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후렴구가 싱싱하게 살아 있는 멜로디, 포근한 여성성을 강조하는 보컬, 찰랑대는 기타 연주는 낭만과 기쁨과 안식을 동시에 제공한다. 템포를 한 단계 낮춘 '나의 태양은 지고' '그대만 있다면' 같은 곡 역시 팝이지만 가볍지 않고, 록이지만 거칠지 않다.

KBS 드라마 < 봄의 왈츠 >에 쓰인 'One love', 그 밖에 'Leave me' '신기루' 등은 분위기 전환용 두 번째 타이틀 곡이거나 멜로 드라마 스코어에 하자 없이 어울릴 구슬픈 발라드이다. 심하게 도배된 스트링과 쌍벽을 이루는 보컬의 작위적 감정과잉에 기대지 않고, 곡 자체의 완성도와 오버하지 않는 보컬로 정당하게 승부한다. 노래를 부르는 지선은 음역의 폭이 넓지는 않지만 가진 소리의 범위 안에서 밝고 화사하게 분위기를 연출하고, 때로는 애절함을 진솔하게 담아낼 줄 안다. 가끔 의외의 관능미를 비추기도 한다. 직접 만든 '달의 축제'는 '여가수의 은밀한 매력'을 읽을 수 있는 고혹적인 곡이다.

개인적으로는, 1집은 이랬고 2집은 저랬고 3집은 1집과 2집의 합체라는 평가에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 늘 해 왔던 작업과 간직하고 있었던 감성의 유지 및 확장이라고 본다. 어느 곡에도 어느 앨범에도 대중성과 작품성이 몰려 있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항상 모든 면면에 잘 들리고 잘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이 있었다. 예쁜 음악을 지향하지만 외형적 아름다움만 추구하지는 않았고, 음악다운 음악을 만들지만 나 홀로 예술에 천착하지도 않았다. 팝의 감수성과 록의 자존심을 함께 담아야 한다는 오버 그라운드 뮤지션의 당위에 늘 충실했다.

-수록곡-
01. 일요일 맑음 (작사 : 이재학 / 작곡 : 이재학)
02. 차라의 숲 (지선 / 강현민)
03. 화분 (강현민 / 강현민)
04. 나의 태양은 지고.. (이재학 / 이재학)
05. One Love (이재학 / 이재학)
06. TV (이재학 / 이재학)
07. Leave me (강현민 / 강현민)
08. 달의 축제 (지선 / 지선)
09. 신기루 (지선 / 지선)
10. 그대만 있다면 (강현민 / 강현민)
11. Run (강현민 / 강현민)
12. 녹색 소파 (이재학 / 이재학)
13. 인어. 세상을 걷다 (강현민 / 강현민)

프로듀스 : 러브홀릭
이민희(shamchi@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