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즘이 비정기적으로 미처 리뷰하지 못했던 작품을 되짚어봅니다. 이번 리뷰는 이즘에서 '2011년 올해의 가요 앨범'으로 선정한 이디오테잎의 < 11111101 >입니다.
달리고 싶다. 머리를 흔들고 소리를 지르고 몸을 부딪치며 놀고 싶다. 발매로부터 긴 시간이 흘렀어도 느껴지는 감정은 예나 지금이나 같다. 내면 깊숙이 박힌 피로를 토해낼 수 있는 짜릿한 광란의 순간이 필요한 자에게 < 11111101 > 청취는 보장된 탁월한 선택이다. 당신이 록 마니아든 EDM 클러버든 그저 감정을 쏟아내고 싶은 사람이든 상관없다. 일단 재생하라. 1번 트랙 'Pluto'의 시작과 동시에 뛰어라. 마지막 트랙 'League'의 끝에 도달할 때까지 그대로 놀아라. 당신의 텐션 유지는 이디오테잎이 책임진다.
록과 일렉트로닉의 결합하면 흔히 떠오르는 빅 비트신의 프로디지나 케미컬 브라더스 등이 만들어내는 광적인 레이브 뮤직과 비슷한 포맷이긴 하나, 음악은 다소 결이 다르다. 밴드 슈가도넛 출신의 드러머 디알(DR)이 구슬땀과 함께 빚어내는 드러밍은 테크노 비트의 현란함과는 거리가 먼 대신, 곡 구성에 따라 템포와 세기를 세밀하게 조절하면서도 정공법으로 휘몰아치는 순도 높은 록의 색채를 띠고 있다.
디알이 열심히 깔고 있는 아스팔트 도로 위로 디구루와 제제가 생산하는 강력한 전류가 흐른다. 일렉트릭 기타의 자리를 완벽하게 대체한 신시사이저는 공격적인 전개와 생동하는 선율의 흐름, 잠깐의 저항 후 한계 돌파의 순간들을 순환한다. 다양한 멜로디 라인을 직조해 모든 트랙에 고유의 개성을 무장해 놓고, 점층적 루프와 완급 조절로 서스펜스를 만들어내 긴장과 해방의 경계를 고무줄놀이처럼 쉴 새 없이 넘나든다. 이 전략은 시작부터 모든 것을 부숴버릴 것만 같은 비트로 분위기를 잡고 들어가는 첫 트랙 'Pluto'부터 명확하게 드러난다.
모든 음악적 터치가 모여 광적인 파티를 창조하는 동안 트랙 간 연결성은 물론 개별적인 색채가 약해지는 부분이 전혀 없다. 지금까지도 마성의 트랙으로 자리 잡고 있는 'Melodie'는 제목 그대로 쫀득한 멜로디와 비트가 합일을 이루면서 폭발적인 훅 포인트의 카타르시스를 선사한다. 상대적으로 미니멀하게 시작하는 'Sunset strip'은 비행기가 이륙하듯 고조되는 순간을 만들고, 후반부 약 1분간 이어지는 신스 증폭 지점은 평온한 안식이자 쾌감이 깃든 해방 포인트라는 입체적인 감상을 남긴다.
낯설지는 않지만, 분명히 새로웠다. 각자의 영역에서 오랫동안 음악을 연마한 세 아티스트가 모여 이룬 생소한 형태의 밴드에는 어색함이 없었다. 어느 한 포지션이 나서서 화려한 테크닉을 뽐내며 기교를 부리는 순간도, 특정한 주제 의식을 담아 부르는 보컬도 없다. 대신 모두가 뛰어놀 수 있는 음악의 본질에 집중했다. 심장 박동을 잡아끄는 리얼 드럼과 다양한 분위기를 이루는 신스의 루프로 쾌락의 지점을 만든 결과, 록 키드와 클러버가 한데 모인 교집합이 그려졌다.
이디오테잎이 활동을 시작한 지 15년이 넘었지만, 지금까지도 이들과 유사한 포맷의 밴드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트렌드가 바뀌었다거나 그들의 음악이 주류에서 벗어났기 때문은 아니다. 이는 그들의 음악이 쉽게 따라할 수 없는 독보적인 영역이며 여전히 신선하다는 방증이다.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해체와 재조립의 반복이 음악사의 필연적인 흐름이긴 해도, 그 순환을 이끄는 선구자가 되기 위해서는 과감한 애티튜드를 받쳐줄 수 있는 확실한 실력이 요구된다. < 11111101 >은 음악 트렌드를 읽는 눈, 새로운 것을 망설이지 않는 태도, 그리고 모두가 즐거울 수 있는 음악을 만들어내는 노련한 실력이 합쳐져 탄생한 역작이다.
-수록곡-
1. Pluto [추천]
2. 080509
3. Melodie [추천]
4. Sunset strip [추천]
5. Idio_t
6. Heyday
7. Toad song [추천]
8. Even floor [추천]
9. Wasted
10. Lea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