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이미지
How The West Was Won
레드 제플린(Led Zeppelin)
2003

by 김두완

2005.12.01

레드 제플린(Led Zeppelin)은 몇 십 년이 지난 지금도 현대인의 탄성을 자아낸다. 이들 네 사람은 영웅의 모습으로 재차 후대를 일깨우곤 한다. 이번에 다시 발굴된 그들의 라이브 음원도 더 없이 소중한 교훈이요 감동으로 전해지고 있다.

< How The West Was Won >은 1972년 6월 25일과 27일, 미국 엘에이 포럼(LA Forum)과 롱비치 아레나(Long beach arena)에서 열렸던 콘서트 실황을 담고 있다. 이전 해에 역사적인 네 번째 '무제(無題)' 앨범을 발표하고 승승장구하던 바로 그 때다. 'Stairway to heaven', 'Whole lotta love', 'Since I've been loving you'등 그간의 대표곡들은 물론이고 다음 앨범인 < Houses Of The Holy >에 배치된 'Over the hills and far away', 'The ocean' 등이 이미 대중들에게 선보여지고 있다.

'Dazed and confused'의 지붕 아래에 자리 잡은 당시의 미발표 두 곡은 흥미롭다. 'Walter's walk'는 < CODA >(1982)에 실린 스튜디오 버전보다 빠르게 휘감기며, 이어지는 'The crunge' 특유의 펑키(funky)한 리듬과 기타 연주는 메들리로서 짧게 얼굴을 내밀지만 강렬하다. 보너스 조건을 차치하더라도 본 곡에서 넘실대는 로버트 플랜트(Robert Plant)의 주술적인 보컬은 경이롭다.

이와 함께 긴 러닝 타임을 과시하는 'Whole lotta love'도 반드시 살펴야할 트랙. 미시시피 블루스를 대표하는 존 리 후커(John Lee Hooker)의 'Boogie chillun', 멤피스 슬림(Memphis Slim)부터 에릭 클랩튼(Eric Clapton)까지 많은 이들의 목소리를 거친 'Going down slow' 등 그 안에 길게 엮어진 메들리들은 레드 제플린 음악의 뼈대인 블루스를 감지시킨다.

'Moby Dick'에서 펼쳐지는 드러머 존 보냄(John Bonham)의 기나긴 혈투가 빛나는 가운데, 앨범 곳곳에서 들리는 지미 페이지(Jimmy Page)의 깔끔하지 못한 기타 솔로잉은 못내 아쉽다. 2집 수록곡 'Bring it on home'에서 들을 수 있었던 오버더빙을 통한 흥에 찬 리프는 지미 홀로 이끄는 기타 연주 탓에 허전함을 피할 수 없다.

1976년에 발매됐으나 실제로는 그로부터 3년 전 연주를 담고 있는 사운드트랙 성격의 < The Song Remains The Same >, 1969년부터 3년간의 라디오 방송 실황을 기록하고 있는 < BBC Session >(1997)등과 비교한다면 수록곡들의 차이는 크지 않다. 그러나 앨범 본연의 성격과 구미를 당기는 선곡 여부를 자세히 따져본다면 이 앨범은 지금까지 발표된 실황 음반 중 가장 만족할만한 내용물을 끌어 모으고 있다.

공연 모습을 충만하게 담은 디브이디(DVD)와 동시 발매되어 큰 화제를 모은 이 3장의 방대한 녹취록은 이미 빌보드 차트 정상을 찍었다. 이들의 '서부 정복기'는 이처럼 대중의 청감을 한번 더 정복해 버리고 말았다.

-수록곡-
CD 1.
1. LA Drone
2. Immigrant song
3. Heartbreaker
4. Black dog
5. Over the hills and far away
6. Since I've been loving you
7. Stairway to heaven
8. Going to California
9. That's the way
10. Bron-Yr-Aur stomp

CD 2.
1. Dazed and confused
2. What is and What should never be
3. Dancing days
4. Moby Dick

CD 3.
1. Whole lotta love
2. Rock and roll
3. The ocean
4. Bring it on home

Produced by Jimmy Page
김두완(ddoobari@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