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POP
      • Some Girls
        1978
        롤링 스톤스(Rolling Stones)
      • DATE : 2012/09   |   HIT : 8008
      • by 이수호
      • < Exile On Main Street > 이후, 롤링 스톤스(The Rolling Stones)의 1970년대는 새로운 사운드를 접목시키는 음악적 실험으로 가득했다. 밴드의 트렌드 친화적인 접근과 여러 국가로의 도피를 통해 습득한 값진 식견(?)들은 다양한 음악을 흡수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고 작품 곳곳에 자리하는 펑크(funk)와 라틴, 레게 사운드는 이러한 증거로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시기는 밴드의 역사에서 다소 아쉬운 부분에 속한다.

        물론 개개의 싱글들은 베스트 앨범에 모두 수록해도 모자람이 없는 결과물들이다. 그러나 디스코그래피라는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판단하자면 (당시의 시각으로는) 물음표가 따르는 부분인데,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이유는 본연의 맹렬했던 사운드를 다소 접어두었다는 사실에 존재한다. 록 넘버보다는 발라드 넘버에서 소구력을 발휘했던 < Goats Head Soup >는 그 자체로 연성화의 증거였으며 로큰롤이라는 이름을 걸고 내민 < It's Only Rock 'n Roll >은 예전만한 기세를 보여주지 못했다. 여기에 후속작 < Black And Blue >는 디스코와 라틴 음악 등의 영역에 더 많은 지분을 할애한 작품이었으니 록 팬들의 비난이 따르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이런 반응에 아랑곳할 롤링 스톤스던가. 사람들의 비난, 특히 펑크 록을 앞세운 젊은 세대들의 원색적인 공격이 빗발쳤음에도 밴드는 여전히 펑크(funk)나 디스코와 같은 유행을 움켜쥐고 있었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여기에 전성기를 연상케 하는 맹렬한 리듬 앤 블루스를 혼합해 선 굵은 사운드를 뽑아냈으니 가장 트렌디하면서도 가장 롤링 스톤스다운 작품, < Some Girls >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음반의 첫 번째 싱글로 공개되었던 'Miss you'는 10곡에 달하는 트랙들 가운데서도 제일 뛰어난 작품이었다. 기민하게 흔드는 디스코 식 전개 위에 블루스 음률을 얹은 이 곡은 댄서블한 로큰롤로 가득 채워진 밴드의 이력에서도 단연 정점에 자리한다. 무엇보다도 가장 돋보이는 부분은 하이 햇 심벌즈를 적극 활용하며 색다른 사운드를 주조해낸 찰리 와츠(Charlie Watts)의 드럼 연주였다. 두터운 베이스 드럼을 바탕으로 단속적인 연주를 진행했던 이전과는 다른, 경량화한 리듬을 빚어낸 것으로 팝적인 접근을 이루는데 있어 일등공신의 지위를 차지한다.

        찰리 와츠와 더불어 베이시스트 빌 와이먼(Bill Wyman)이 전체적인 밑바탕을 그려냈다면 키스 리처드(Keith Richards)와 로니 우드(Ronnie Wood)는 환상적인 기타 사운드를 덧입혔다. 보컬 믹 재거(Mick Jagger)가 기타 배킹을 동시에 담당함으로써 완전히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었던 두 기타리스트는 'Respectable'이나 'Shattered'와 같은 곡들에서 화려한 조합을 자아낸다. 특히 강렬하게 진행하는 리듬 앤 블루스 넘버 'Respectable'은 교대로 날아드는 기타 솔로가 일품인 곡으로 둘의 시너지가 빛을 발휘한 수준급의 트랙이다.

        날이 선 사운드와 마찬가지로 태도의 면모에서도 위협적인 이빨을 드러낸다. 특히 길거리를 전전하는 동성애자의 삶을 날카롭게 그린 'When the whip comes down'이나 여성 비하적인 발언을 서슴지 않는 'Some girls'는 다분히 거친 주제를 다루는 문제작이며, 'Lies'는 애인의 거짓말에 진저리를 치는 분노가 담긴 로큰롤 넘버다.

        한편으로 밴드의 또 다른 특기인 발라드 라인 또한 앨범 곳곳에 자리하는데 로니 우드의 기타 솔로가 일품인 'Far away eyes'는 컨트리풍의 터치를 가미한 매력적인 곡이다. 여기에 믹 재거가 독백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Beast of burden'과 (비록 로큰롤 트랙이긴 하나) 약물에 빠져 살았던 지난날에 작별을 고하는 키스 리처드의 'Before they make me run'은 밴드의 이력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자전(自傳)들로, 음반에 다채로움을 제공하는 놓칠 수 없는 작품들이다.

        앨범은 성공적이었다. 차트 성적과 판매량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대중을 휘어잡았고 < Exile On Main Street > 시절의 전성기로 복귀했다는 평과 함께 평단의 지지도 이끌어냈다. 특히나 기성 록 밴드에 향한 젊은 반감과 디스코에 대한 당대의 비난을 뚫고 만든 트렌드 작품이었기에 < Some Girls >가 지니는 의의는 더욱 부각된다. 혁신을 향한 꾸준한 시도가 거둔 거장들의 승리랄까.

        돌이켜보면 1970년대는 갖가지 사운드가 만발하던 시대였다. 웅장하게 울려 퍼지는 프로그레시브 록이 있었는가 하면 단순함의 미학이 맹위를 떨치던 펑크도 있었고, 남성적인 하드 록과 여성적인 글램 록이 공존했다. 흑인 음악의 영역에서는 펑크(funk)와 디스코가 연달아 일고 있었고 남미에서는 라틴과 레게가 연달아 날아들었으니 실로 다양하고 또 다양했다. 롤링 스톤스는 이 모든 걸 담고자 했다. 시류에 발을 맞추려 부단히 노력했고 그 속에서도 자신들만의 색깔을 지키고자 끝없이 분전했다. 이러한 결과물의 정상에 < Some Girls >가 자리한다. 트렌드와 본연의 사운드를 모두 획득한 당대의 시대작이자 현재의 명반이 말이다.

        -수록곡-
        1. Miss you
        2. When the whip comes down
        3. Just my imagination (Running away with me)
        4. Some girls
        5. Lies
        6. Far away eyes
        7. Respectable
        8. Before they make me run
        9. Beast of burden
        10. Shattered
      • 2012/09 이수호 (howard19@naver.com)
      • 앨범 리뷰
      • Blue & Lonesome 롤링 스톤스 이수호 2016 4260
        A Bigger Bang 롤링 스톤스 임진모 2005 9143
        40 Licks 롤링 스톤스 임진모 2002 8147
        No Security(Live) 롤링 스톤스 IZM 1998
        Bridges To Babylon 롤링 스톤스 IZM 1997
        Rolling Stones Rock And Roll(Live) 롤링 스톤스 IZM 1996
        Stripped(Live) 롤링 스톤스 IZM 1995
        Voodoo Lounge 롤링 스톤스 IZM 1994
        Flashpoint(Live) 롤링 스톤스 IZM 1991
        Steel Wheels 롤링 스톤스 IZM 1989
        Dirty Work 롤링 스톤스 IZM 1986
        Undercover 롤링 스톤스 IZM 1983
        In Concert(Live) 롤링 스톤스 IZM 1982
        Still Life(Live) 롤링 스톤스 IZM 1982
        Tattoo You 롤링 스톤스 IZM 1981
        Emotional Rescue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80 6373
        Some Girl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8 8008
        Love You Live 롤링 스톤스 IZM 1977
        Black And Blue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5 5475
        Metamorphosis 롤링 스톤스 IZM 1975
        It's Only Rock 'n Roll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4 5275
        Goats Head Soup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2 5599
        Jamming With Edward 롤링 스톤스 IZM 1972
        Exile On Main Street   롤링 스톤스 여인협 1972 8492
        Hot Rocks 1964-1971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72 7067
        Sticky Fingers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71 8809
        Get Yer Ya-Ya’s Out(Live) 롤링 스톤스 IZM 1970
        Let It Bleed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9 7984
        Beggars Banquet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8 7991
        Beggars Banquet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8 7429
        Flowers (Rolling Stones) 롤링 스톤스 IZM 1967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7 5387
        Between The Button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7 5958
        Got Live If You Want It 롤링 스톤스 IZM 1966
        Aftermath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6 7803
        December’s Children 롤링 스톤스 IZM 1965
        The Rolling Stones Now!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5 5685
        Out Of Our Head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5 7132
        12 X 5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4 5459
        The Rolling Stone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4 6349
      • 싱글 리뷰
      • Doom and gloom (Jeff Bhasker Mix) 롤링 스톤스 신현태 2012 6275
      • 아티클
      • 롤링 스톤스 인터뷰 롤링 스톤스 임진모 9983
        ‘트렌드 체이서’ 롤링 스톤스 롤링 스톤스 이수호 8223
        롤링 스톤스 ‘Ruby Tuesday’ 롤링 스톤스 이무영 12639
        공연이 영화로까지 나온 롤링 스톤스 롤링 스톤스 임진모 11609
        로큰롤 거장들, 돈 와스와 한번 더! 롤링 스톤스 김獨 7180
        롤링스톤스, “우표 있어요~” 롤링 스톤스 김소연 7000
        “롤링 스톤스, 이 노래는 안돼!” 롤링 스톤스 김소연 7707
        공연의 제왕 롤링 스톤스 롤링 스톤스 임진모 7415
        세기말 부활하는 악령 대변 노래 ’시간은 내편이야’ 롤링 스톤스 임진모 7730
        롤링 스톤즈 5년만에 새앨범 롤링 스톤스 임진모 6916
        50代 믹 재거 새음반, 노익장 과시 롤링 스톤스 임진모 6766
        이혼설 나도는 롤링 스톤즈 멤버 커플 롤링 스톤스 임진모 7506
        북미 순회공연 마친 롤링 스톤즈 롤링 스톤스 임진모 5864
        롤링 스톤즈, “<타임>지 커버 스토리 등장” 롤링 스톤스 임진모 6817
      • 관련 앨범 리뷰
      • Superheavy 슈퍼헤비 신현태 2011 6786
        Goddess in the Doorway 믹 재거 안재필 2001 5724
        Wandering Spirit 믹 재거 IZM 1993
        Primitive Cool 믹 재거 IZM 1987
        She’s the Boss 믹 재거 IZM 1985
      • 관련 싱글 리뷰
      • Miracle worker 슈퍼헤비 소승근 2011 6792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마스타 우
        Water (Feat. 키스 에이프)
        • [Single] I be like (Feat. 쏠)
        • [Single] Karma
        • [Single] Death
        • [Single] Water (Feat. 키스 에이프)
        • [Single] No reason
        • [Feature] Fifty와 Fifty가 만나 드디어 100이 됐다
        • [Library]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Assemble
        • [Album]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 [Single] Some things don't change
        • [Single] Miracle
        • [Single] Expectations
        • [Single] Freshman
        • [Single] Young, dumb, stupid
      • 인기 콘텐츠
      • <W.A.Y>

        트라이비(TRI.BE)

        <After The Magic>

        파란노을(Parannoul)

        <Assemble>

        트리플에스(tripleS)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캐롤라인 폴라첵(Caroline Polachek)

        <Gloria>

        샘 스미스(Sam Smith)

        <Audiolust & Higherlove>

        SG 루이스(SG Lewis)





      • Editors' Choice
      • Foi Tudo Culpa Do Amor (Pérolas Populares, Vol. 1)
        바바라 에우지니아
        MPB(브라질 팝)에 아트 록 한 스푼.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클라우드] EP. 31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엔믹스, 황민현, 100 겍스, 바비 콜드웰)
        • [뮤직 클라우드] EP. 30 : 2020년 이후 당신이 기억해야 할 (숨겨...
        • [뮤직 클라우드] EP. 29 : 밴드 열전! 자우림 & 크랜베리스
        • [뮤직 클라우드] EP. 28 : 2023 국/내외 뮤직 페스티벌 여기 어때...
        • [뮤직 클라우드] EP. 27 : 한성현의 영화음악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