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POP
      • It's Only Rock 'n Roll
        1974
        롤링 스톤스(Rolling Stones)
      • DATE : 2012/08   |   HIT : 5271
      • by 이수호
      • 롤링 스톤스(The Rolling Stones)의 전성기는 < Beggars Banquet >부터 < Exile On Main Street >까지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 전후로도 밴드의 입지만은 항상 첫째 아니면 둘째로 확고했으나 대중과 평단, 즉 작품성으로나 대중성으로나 갈채를 동시에 받은 때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 이 시기가 독보적이기 때문이다. < Goats Head Soup > 또한 전작들이 기록했던 것만큼이나 앨범 차트와 판매고에서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브랜드 효과의 덕을 봤던 작품으로 밴드 본연의 로큰롤을 반쯤 접어두었다는 음악의 한계점은 오히려 전성기의 상승곡선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음악의 판도도 예전 같지 않았다. 당대의 걸작,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의 < Dark Side Of The Moon >이 1년이 넘도록 차트의 상위권을 지키고 있었고 대략 25분에 달하는 프로그레시브 넘버 두 곡으로 음반을 채운 마이크 올드필드(Mike Oldfield)의 < Tubular Bells >가 그 다음에 있었다. 여기에 '지기 스타더스트'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와 엘튼 존(Elton John), 록시 뮤직(Roxy Music)까지 차례로 정상을 넘보고 있었으니 롤링 스톤스 자신들도 예전의 탄탄한 지위를 보장할 수 없게 되었다.

        'It's Only Rock 'n Roll'이라고 명명한 신보의 이름에는 당시의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들에게는 < Goats Head Soup >로 인해 주저하는 팬들과 갸우뚱하는 평단을 다시 잡을 수 있는 것이 필요했고 또한 갖가지 화려함으로 장식된 음악들 사이에서 자기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필요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밴드가 외친 오직 로큰롤뿐이라는 이 한마디는 자구책과 다름없었다. 전성기를 떠올리게 하는 강렬한 사운드를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여전히 자신들이 건재하고 있음을, 그리고 로큰롤이 살아있음을 증명하려는 의도였던 것이다.

        포문을 연 첫 트랙 'If you can't rock me'는 음반의 방향을 가장 잘 제시한 곡이었다. 거칠게 긁는 기타 리프와 여성 편력의 가사는 그 자체로 롤링 스톤스를 정의하는 요소들이었으니, 자아를 다시 확인하는 일에서 재도약의 길을 찾은 셈이다. 템테이션스(The Temptations)의 원곡을 재해석한 'Ain't too proud to beg'나 이언 스튜어트(Ian Stewart)의 피아노 연주가 더해진 'Dance little sister' 역시 이와 같은 노선 위에 위치한 하드 록 넘버들이었고 여기에 '여전히 내가 좋아하는 건 로큰롤 뿐'이라고 날카롭게 외치는 'It's only rock 'n roll (But I like it)'은 로큰롤에 대한 절의(節義)를 나타내는 곡이었으니 단연 앨범의 타이틀 트랙으로 꼽힐 만 했다.

        몰아치는 로큰롤 속에서도 밴드는 다양성을 잃지 않으려 노력하는데 그 증거는 자신들의 또 다른 특기인 발라드에 존재한다. 정인(情人)에게 이별을 고하는 'Till the next goodbye'는 찰리 와츠(Charlie Watts)의 차분한 드럼 연주가 흡인력을 발휘하며 'If you really want to be my friend'는 전작의 'Winter'와 동일한 궤도에 있는 곡이다. 한편으로 'Time waits for no one'이나 'Luxury', 'Fingerprint file'은 로큰롤의 문법에 라틴, 펑크(funk) 등을 가미시킨 트랙들로 다양성의 측면에서 또 다른 매력을 발산한다.

        패권을 되찾으려는 사운드의 기세는 맹렬했으나 밴드의 정황은 갈수록 기울어져만 갔다. 먼저 앤드류 루그 올드햄(Andrew Loog Oldham)의 뒤를 이은 프로듀서 지미 밀러(Jimmy Miller)가 약물남용 죄로 기소된 것이 시발점이었다. 음반 제작에 차질이 빚어진 것은 당연한 일이었고 이에 따라 믹 재거(Mick Jagger)와 키스 리처드(Keith Richards)는 스스로 프로듀싱을 진행해야했다. 음반 발매 당시의 인터뷰를 통해 리처드는 “독자적인 사운드 제작을 위한 프로듀서 교체”라고 언급했으나 한편으로는 어려움에 처한 밴드의 상황을 드러내는 사례이기도 했다.

        더불어 브라이언 존스(Brian Jones)의 대체자로 영입했던 기타리스트 믹 테일러(Mick Taylor)와의 불협화음도 하향세에 한 몫 거들었다. 전임자만큼이나 다채로운 실력을 갖추고 있었지만 그만큼의 팀워크를 발휘하지 못 했던 테일러는 음반 작업 도중 종종 리처드와 충돌을 일으켰고 급기야 녹음 중간에 스튜디오에서 내쫓기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이윽고 밴드에 다시 합류하며 앨범을 완성하는데 성공했으나 공동 작곡을 한 'Till the next goodbye'와 'Time waits for no one'의 작곡자 크레디트가 "Jagger/Richards"로 올라있는 것이 다시 화근이 되며 그해 12월에 스스로 탈퇴를 하게 된다.

        내우외환의 정세 속에서 탄생한 회심의 작품이었으나 밴드는 그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 했다. 이름값 덕분에 앨범 차트를 5위로 시작할 수 있었지만 2주 만에 하향 곡선을 그렸고 평단에서도 진부하다는 수식과 함께 범작의 평가를 내리는데 그쳤다. 기세 좋게 내놓았던 자구책은 엘튼 존과 퀸(Queen), 베이 시티 롤러스(Bay City Rollers) 등의 후발주자들에게 추월을 허용했다. 더불어 롤링 스톤스도 나이든 밴드라는 대접과 함께 뒤안길로 남게 되었다.

        1970년대는 1960년대와 같지 않았다. 퇴폐적이고 반항적인 이미지보다는 데이비드 보위처럼 말쑥한 차림을 선호했고 거친 음색보다는 엘튼 존이나 베이 시티 롤러스처럼 깔끔한 음률을 더 가까이했다. 그 속에서 외친 '오직 로큰롤뿐'이라는 한마디는 오히려 외로운 자기 위안처럼 느껴졌다.

        -수록곡-
        1. If you can't rock me
        2. Ain't too proud to beg
        3. It's only rock 'n roll (But I like it)
        4. Till the next good bye
        5. Time waits for no one
        6. Luxury
        7. Dance little sister
        8. If you really want to be my friend
        9. Short and curlies
        10. Fingerprint file
      • 2012/08 이수호 (howard19@naver.com)
      • 앨범 리뷰
      • Blue & Lonesome 롤링 스톤스 이수호 2016 4260
        A Bigger Bang 롤링 스톤스 임진모 2005 9141
        40 Licks 롤링 스톤스 임진모 2002 8135
        No Security(Live) 롤링 스톤스 IZM 1998
        Bridges To Babylon 롤링 스톤스 IZM 1997
        Rolling Stones Rock And Roll(Live) 롤링 스톤스 IZM 1996
        Stripped(Live) 롤링 스톤스 IZM 1995
        Voodoo Lounge 롤링 스톤스 IZM 1994
        Flashpoint(Live) 롤링 스톤스 IZM 1991
        Steel Wheels 롤링 스톤스 IZM 1989
        Dirty Work 롤링 스톤스 IZM 1986
        Undercover 롤링 스톤스 IZM 1983
        In Concert(Live) 롤링 스톤스 IZM 1982
        Still Life(Live) 롤링 스톤스 IZM 1982
        Tattoo You 롤링 스톤스 IZM 1981
        Emotional Rescue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80 6370
        Some Girl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8 7994
        Love You Live 롤링 스톤스 IZM 1977
        Black And Blue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5 5466
        Metamorphosis 롤링 스톤스 IZM 1975
        It's Only Rock 'n Roll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4 5271
        Goats Head Soup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2 5596
        Jamming With Edward 롤링 스톤스 IZM 1972
        Exile On Main Street   롤링 스톤스 여인협 1972 8471
        Hot Rocks 1964-1971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72 7065
        Sticky Fingers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71 8803
        Get Yer Ya-Ya’s Out(Live) 롤링 스톤스 IZM 1970
        Let It Bleed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9 7982
        Beggars Banquet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8 7987
        Beggars Banquet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8 7427
        Flowers (Rolling Stones) 롤링 스톤스 IZM 1967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7 5385
        Between The Button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7 5944
        Got Live If You Want It 롤링 스톤스 IZM 1966
        Aftermath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6 7800
        December’s Children 롤링 스톤스 IZM 1965
        The Rolling Stones Now!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5 5684
        Out Of Our Head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5 7128
        12 X 5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4 5458
        The Rolling Stone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4 6347
      • 싱글 리뷰
      • Doom and gloom (Jeff Bhasker Mix) 롤링 스톤스 신현태 2012 6272
      • 아티클
      • 롤링 스톤스 인터뷰 롤링 스톤스 임진모 9978
        ‘트렌드 체이서’ 롤링 스톤스 롤링 스톤스 이수호 8214
        롤링 스톤스 ‘Ruby Tuesday’ 롤링 스톤스 이무영 12632
        공연이 영화로까지 나온 롤링 스톤스 롤링 스톤스 임진모 11601
        로큰롤 거장들, 돈 와스와 한번 더! 롤링 스톤스 김獨 7178
        롤링스톤스, “우표 있어요~” 롤링 스톤스 김소연 6995
        “롤링 스톤스, 이 노래는 안돼!” 롤링 스톤스 김소연 7705
        공연의 제왕 롤링 스톤스 롤링 스톤스 임진모 7414
        세기말 부활하는 악령 대변 노래 ’시간은 내편이야’ 롤링 스톤스 임진모 7729
        롤링 스톤즈 5년만에 새앨범 롤링 스톤스 임진모 6913
        50代 믹 재거 새음반, 노익장 과시 롤링 스톤스 임진모 6764
        이혼설 나도는 롤링 스톤즈 멤버 커플 롤링 스톤스 임진모 7496
        북미 순회공연 마친 롤링 스톤즈 롤링 스톤스 임진모 5862
        롤링 스톤즈, “<타임>지 커버 스토리 등장” 롤링 스톤스 임진모 6815
      • 관련 앨범 리뷰
      • Superheavy 슈퍼헤비 신현태 2011 6785
        Goddess in the Doorway 믹 재거 안재필 2001 5721
        Wandering Spirit 믹 재거 IZM 1993
        Primitive Cool 믹 재거 IZM 1987
        She’s the Boss 믹 재거 IZM 1985
      • 관련 싱글 리뷰
      • Miracle worker 슈퍼헤비 소승근 2011 6788
      • 최근 업데이트
      • Interview
        박승화 인터뷰
        • [Album]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 [Single] Some things don't change
        • [Single] Miracle
        • [Single] Expectations
        • [Single] Freshman
        • [Single] Young, dumb, stupid
        • [Interview] 박승화 인터뷰
        • [Album] Bless This Mess
        • [Library] Force Deux
        • [Album] Holy
        • [Album] 호프리스 로맨틱
        • [Feature] 반지의 제왕 : 왕의 귀환(The Lord Of The Rings : Return Of The King, 2003)
        • [Single] Sugar sweet
        • [Single] Best day ever
        • [Album] Be Awake
      • 인기 콘텐츠
      • <The Fifty>

        피프티 피프티(FIFTY FIFTY)

        <W.A.Y>

        트라이비(TRI.BE)

        <First Of All>

        박혜원(HYNN)

        <H1-KEY 1st Mini Album [Rose Blossom]>

        하이키(H1-KEY)

        <Indigo>

        알엠(RM)

        <After The Magic>

        파란노을(Parannoul)





      • Editors' Choice
      • Heaven(금기)
        이바다
        몽롱한 목소리가 이끄는 사랑이란 항해의 끝이 예고된 파국일지라도, 어찌 홀리지 않을 수 있을까.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30 : 2020년 이후 당신이 기억해야 할 (숨겨진) K팝 트랙! with 정민재 평론가
        • [뮤직 클라우드] EP. 29 : 밴드 열전! 자우림 & 크랜베리스
        • [뮤직 클라우드] EP. 28 : 2023 국/내외 뮤직 페스티벌 여기 어때...
        • [뮤직 클라우드] EP. 27 : 한성현의 영화음악
        • [뮤직 클라우드] EP. 26 : 좋은 음악 같이 들어요 특집 with. 임...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