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POP
      • 40 Licks
        2002
        롤링 스톤스(Rolling Stones)
      • DATE : 2002/10   |   HIT : 8350
      • by 임진모
      • 1960년대 록과 팝을 대표하는 그룹은 비틀스뿐이 아니다. 비틀스는 필생의 라이벌이자 동반자였던 롤링 스톤스(Rolling Stones)가 있었기에 영국의 미국정복을 의미하는 '브리티스 인베이전'을 일궈내면서 60년대 대중음악무대를 평정할 수 있었다. 두 그룹은 경쟁하는 한편, 공생(共生), 상생(相生)하며 브리티시 인베이전을 다양하게 살찌웠다.

        비록 비틀스보다 대중적 흡수력이 처졌을 지는 몰라도 롤링 스톤스는 그들과 전혀 다른 질감의 음악을 가지고 '1등보다 우월한 2등' 또는 '2등 같은 1등' 록밴드의 위상을 확립했다. 비틀스와 차별화를 꾀하고 나아가 특화(特化)를 이룩한 것이야말로 스톤스가 비틀스와 등권(等權)을 행사하며 당대 록음악계를 양분하게 된 거름이었다. 비틀스가 산뜻함을 내세워 미국인을 사로잡은 반면, 그들은 불량과 도발의 이미지로 대서양을 횡단했다.

        그래서 비틀스가 '멋진 4인'(Fab Four)라면 스톤스는 명실상부한 '다섯 악동'(Five Bad Boys)이었다. 그들은 위험하고 불길했다. 기성세대들은 비틀스에겐 안심했지만 스톤스에겐 마음을 놓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악동은 언제나 젊음의 편. 더욱이 록의 포효는 모범생이 아닌, 반항아와 어울림을 갖는다. 록을 했던 비틀스가 나중 전천후 '팝' 그룹으로 상승하여 '전 세대'를 포괄할 때 그들은 젊음과 발열(發熱)에 충실했고 '록'에 절개를 바쳤다. 60년대 어느 순간부터 청춘들은 그 지지의 대상을 비틀스에서 스톤스로 옮기기 시작했다.

        비틀스가 국민그룹이 됐을 때 스톤스는 청춘의 압도적 지지로 인해 '지구 최강의 록밴드'라는 훈장을 달았다. 이 점은 비틀스도 인정해 조지 해리슨은 그룹 해산 뒤 “지금 그리고 앞으로도 록의 최고는 스톤스일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록에 관한 한 챔피언은 스톤스가 된 것. 평론가들도 록 분야에 관한 한 스톤스를 비틀스보다 우위에 둔다.

        비틀스의 명반이 대여섯 장 거론될 때, 스톤스는 보통 예닐곱 장이 무더기로 천거된다. <Aftermath>(66년) <Between The Buttons>(67년) <Beggars Banquet>(68년) <Let It Bleed>(69년) <Stickey Fingers>(71년) <Exile On Main St.>(72년) <It's Only Rock 'N Roll>(74년) <Some Girls>(78년) <Steel Wheels>(89년)가 그것들이다.

        롤링 스톤스의 음악은 블루스(Blues)에 뿌리를 대고 있다. 비틀스도 블루스 세례를 받긴 했지만 그 무렵 유행하던 영국의 '셔플' 쪽으로 흐른 반면 롤링 스톤스는 처음부터 지금까지 오로지 블루스에 천착하고 있다. 키스 리처드와 믹 재거가 만나 처음 그룹을 짤 때도 “머디 워터스(Muddy Waters)나 하울링 울프(Howlin' Wolf)와 같은 블루스 음악을 알리는 게 목표”라고 했다. 그룹명도 머디 워터스의 노래 'Rolling stone'에서 따왔다. 스톤스의 음악이 끈적끈적하고 잿빛을 띠는 것은 당연했다.

        하지만 그들은 1965년 '(I can't get no) Satisfaction'을 기점으로 블루스선법에서 한 단계 도약하여 거기에 강력한 록 리듬을 덧입힌다. 그룹의 음악감독인 키스 리처드의 일렉트릭 기타 리듬이 이들 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그들은 이후 최고인기의 록밴드로 질주해나갔고, 역사적으로는 '록의 기원이 흑인 블루스에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상징으로 기억되기에 이르렀다.

        그들은 또한 '록은 젊었을 때 하는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버렸다. 초기 멤버 브라이언 존스가 죽고 믹 테일러가 대신하고 다시 론 우드로 교체된 것을 비롯해 얼굴이 더러 바뀌었지만 키스 리처드와 믹 재거라는 중심 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1963년부터 2002년 오늘에 이르기까지 40년을 꼬박 록 연주와 노래에 헌신하고 있다. 그 사이 리처드와 재거는 내년이면 환갑을 맞는 노인이 됐다. 그들은 '늙어서도 록을 한다'는 새 규범을 만들어냈다.

        <40 Licks>는 실로 40년의 장구한 록 궤적을 2장의 CD로 집대성한 스톤스의 결정판이다. 초기 '런던' 레이블의 히트곡들과 나중 자신들의 독자 레이블 '롤링 스톤스'의 레퍼토리를 묶은 것으로는 처음이라는 점에서 뜻깊다. 미국 최초의 톱10 싱글 'Time is on my side'나 발라드 애청곡 'As tears go by' 등이 빠졌지만 그렇게 따지면 한도 끝도 없고 두 장으로도 턱없이 부족하다.

        진정한 스톤스의 '베스트앨범'이다. 1964년 'Not fade away'부터 1997년 앨범 <Bridges To Babylon>의 'Anybody seen my baby'에 이르기까지 그들 록의 역사적 수작들을 집대성했다. 특히 이번 앨범을 위해 만든 'Don't stop' 'Key to your love' 등 4곡의 신곡이 포함되었다. 신세대들은 이 앨범을 통해 비틀스와 또 다른 록의 미학을 확인하고 포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을 알아야 20세기 최대의 문화유산이라는 록의 정체와 실체가 풀린다. 비틀스만 안다고 될 일이 아니다.

        21세기를 맞이한 지금도 그들은 록을 위해 치열하게 구른다. 이제는 그들 음악을 잘 모르는 신세대를 향해서 록의 진정성을 전하기 위해 구르기 시작한다. 이번의 기념비적 베스트는 그들이 '최강 최상 그리고 최후의 록밴드'임을 못박는다. 이제 신세대들도 그것을 알 때가 됐다.

        -CD 하나-
        1 Street fighting man
        2 Gimme shelter
        3 (I can't get no) Satisfaction
        4 The last time
        5 Jumpin' Jack flash
        6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7 19th nervous breakdown
        8 Under my thumb
        9 Not fade away
        10 Have you seen your mother baby, standing in the shadow
        11 Sympathy for the devil
        12 Mother's little helper
        13 She's a rainbow
        14 Get off of my cloud
        15 Wild horses
        16 Ruby Tuesday
        17 Paint it black
        18 Honky tonk woman
        19 It's all over now
        20 Let's spend the night together

        -CD 둘-
        1 Start me up
        2 Brown sugar
        3 Miss you
        4 Beast of burden
        5 Don't stop(신곡)
        6 Happy
        7 Angie
        8 You got me rockin'
        9 Shattered
        10 Fool to cry
        11 Love is strong
        12 Mixed emotions
        13 Key to your love(신곡)
        14 Anybody seen my baby
        15 Stealing my heart(신곡)
        16 Tumbling dice
        17 Undercover
        18 Emotional rescue
        19 It's only rock'n' roll
        20 Losin' my touch(신곡)
      • 2002/10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Blue & Lonesome 롤링 스톤스 이수호 2016 4412
        A Bigger Bang 롤링 스톤스 임진모 2005 9313
        40 Licks 롤링 스톤스 임진모 2002 8350
        No Security(Live) 롤링 스톤스 IZM 1998
        Bridges To Babylon 롤링 스톤스 IZM 1997
        Rolling Stones Rock And Roll(Live) 롤링 스톤스 IZM 1996
        Stripped(Live) 롤링 스톤스 IZM 1995
        Voodoo Lounge 롤링 스톤스 IZM 1994
        Flashpoint(Live) 롤링 스톤스 IZM 1991
        Steel Wheels 롤링 스톤스 IZM 1989
        Dirty Work 롤링 스톤스 IZM 1986
        Undercover 롤링 스톤스 IZM 1983
        In Concert(Live) 롤링 스톤스 IZM 1982
        Still Life(Live) 롤링 스톤스 IZM 1982
        Tattoo You 롤링 스톤스 IZM 1981
        Emotional Rescue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80 6498
        Some Girl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8 8246
        Love You Live 롤링 스톤스 IZM 1977
        Black And Blue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5 5686
        Metamorphosis 롤링 스톤스 IZM 1975
        It's Only Rock 'n Roll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4 5407
        Goats Head Soup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72 5732
        Jamming With Edward 롤링 스톤스 IZM 1972
        Exile On Main Street   롤링 스톤스 여인협 1972 8665
        Hot Rocks 1964-1971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72 7258
        Sticky Fingers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71 8976
        Get Yer Ya-Ya’s Out(Live) 롤링 스톤스 IZM 1970
        Let It Bleed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9 8236
        Beggars Banquet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8 8132
        Beggars Banquet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8 7586
        Flowers (Rolling Stones) 롤링 스톤스 IZM 1967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7 5570
        Between The Button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7 6120
        Got Live If You Want It 롤링 스톤스 IZM 1966
        Aftermath 롤링 스톤스 임진모 1966 7956
        December’s Children 롤링 스톤스 IZM 1965
        The Rolling Stones Now!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5 5851
        Out Of Our Head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5 7322
        12 X 5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4 5610
        The Rolling Stones 롤링 스톤스 이수호 1964 6498
      • 싱글 리뷰
      • Angry 롤링 스톤스 임진모 2023 308
        Doom and gloom (Jeff Bhasker Mix) 롤링 스톤스 신현태 2012 6396
      • 아티클
      • 롤링 스톤스 인터뷰 롤링 스톤스 임진모 10133
        ‘트렌드 체이서’ 롤링 스톤스 롤링 스톤스 이수호 8385
        롤링 스톤스 ‘Ruby Tuesday’ 롤링 스톤스 이무영 13020
        공연이 영화로까지 나온 롤링 스톤스 롤링 스톤스 임진모 11996
        로큰롤 거장들, 돈 와스와 한번 더! 롤링 스톤스 김獨 7305
        롤링스톤스, “우표 있어요~” 롤링 스톤스 김소연 7124
        “롤링 스톤스, 이 노래는 안돼!” 롤링 스톤스 김소연 7828
        공연의 제왕 롤링 스톤스 롤링 스톤스 임진모 7547
        세기말 부활하는 악령 대변 노래 ’시간은 내편이야’ 롤링 스톤스 임진모 7858
        롤링 스톤즈 5년만에 새앨범 롤링 스톤스 임진모 7075
        50代 믹 재거 새음반, 노익장 과시 롤링 스톤스 임진모 6924
        이혼설 나도는 롤링 스톤즈 멤버 커플 롤링 스톤스 임진모 7695
        북미 순회공연 마친 롤링 스톤즈 롤링 스톤스 임진모 5968
        롤링 스톤즈, “<타임>지 커버 스토리 등장” 롤링 스톤스 임진모 6934
      • 관련 앨범 리뷰
      • Superheavy 슈퍼헤비 신현태 2011 6945
        Goddess in the Doorway 믹 재거 안재필 2001 5926
        Wandering Spirit 믹 재거 IZM 1993
        Primitive Cool 믹 재거 IZM 1987
        She’s the Boss 믹 재거 IZM 1985
      • 관련 싱글 리뷰
      • Miracle worker 슈퍼헤비 소승근 2011 6924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에프티 아일랜드
        Sage
        • [Single] Angry
        • [Single] Let’s dance
        • [Single] Sage
        • [Single] 별 떨어진다 (I do)
        • [Album] But Here We Are
        • [Album] Playing Robots Into Heaven
        • [Album] The Death Of Randy Fitzsimmons
        • [Interview] 라쿠나 인터뷰
        • [Album] The Ballad Of Darren
        • [Album] Unhealthy (Deluxe)
        • [Single] Get a guitar
        • [Single] Cat & mouse
        • [Single] 홍대 R&B
        • [Single] M.O.M.
        • [Single] Danse macabre
      • 인기 콘텐츠
      • <Nowitzki>

        빈지노(Beenzino)

        <NewJeans 2nd EP 'Get Up'>

        뉴진스(NewJeans)

        <Kiss Of Life>

        키스 오브 라이프(KISS OF LIFE)

        <LOVElution <ↀ>>

        트리플에스(tripleS)

        <Beige>

        키드 밀리(Kid Milli)

        <★★★★★ (5-Star)>

        스트레이 키즈(Stray Kids)





      • Editors' Choice
      • Struggler
        제네시스 오우수
        아린 홍반 사이 여전히 분투하는 펑크와 힙합의 혈액.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53 : [임터뷰] “2010년대 한국의 클럽, DJ 그리고 EDM?!”, 신간 <댄스 뮤직 아카이브> with 이대화 음악 저널리스트
        • [뮤직 클라우드] EP. 52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전람회, ...
        • [뮤직 클라우드] EP. 51 : [신보리뷰] 있지, 전소미, 스테이씨, 트...
        • [뮤직 클라우드] EP 50 : [임뮤클] "동그랗게 원을 그려, 초심의 힘...
        • [뮤직 클라우드] EP 49 : [탁상음론] 뉴진스 with 정다열 필자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