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POP
      • Let It Be.... Naked
        2003
        비틀스(Beatles)
      • DATE : 2003/11   |   HIT : 13356
      • by 임진모
      • 앨범
        '모든 것을 다 이루고 다 해보고 나면 순수로 돌아간다!'는 말이 있듯이 30곡이나 들어간 옴니버스형의 대작 을 내놓은 1968년 말 비틀스는 초기의 밴드시절을 재현하는 풋풋한 성격의 앨범을 만들고자 했다. 게다가 그들은 1966년 8월 이후 전혀 공연을 하지 않았다. 이를테면 콘서트 실황과 관련된 생생한 앨범을 원했던 것이다. 그러면서 그 기획은 밴드 리허설을 그대로 담아 TV 프로로 방영하고 동시에 사운드트랙 앨범을 선보이는 형식의 병행 프로젝트로 발전되었다.
        하지만 트위큰햄 필름 스튜디오에서의 작업은 순탄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여러 곡(이 중에는 훗날 <Abbey Road> 앨범과 멤버들의 솔로 앨범에 수록된 곡들도 있었다)을 낭송하는 수준의 리허설이 진행됐지만 런던의 추운 날씨와 멤버들의 의견차 등 여러 장애요인으로 인해 애초의 의도가 실현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조지 해리슨이 먼저 불만을 제기하며 이 세션에서 이탈했다.
        비틀스는 트위큰햄 스튜디오를 떠나 막 완공된 애플 스튜디오 지하로 돌아와 애초 생각한 대로 테이프루핑, 오버더빙, 프로듀싱 기술 등이 전혀 없는 '무가공' 앨범을 만들기로 합의했다. 일체의 포장 없이 라이브 실황과 그 과정을 그대로 담는, 이른바 백 투 배이직(back to basics) 앨범이 목표였다. 그들은 '날 것'(raw thing)을 원했다. 존 레논은 노골적으로 프로듀서 조지 마틴(George Martin)의 배제를 천명했다(“이번 앨범의 경우는 당신의 프로덕션, 보이스 더빙, 그리고 어떤 편집도 원하지 않아!”). 방향도 처음 기획했던 TV 프로젝트에서 '피처 필름'으로 돌렸다. 이때까지 그 영화와 앨범의 가제는 'Get Back'이었다.
        중도에 키보드 연주자 빌리 프레스턴(Billy Preston)이 게스트 뮤지션으로 가세하면서 세션은 활기를 띠었고 명 엔지니어 글린 존스가 중심에 서서 세션 데모를 제작했다. 와중인 69년 1월, 기획한 영화의 클라이맥스를 이룬, 애플 옥상에서의 라이브 연주가 있었다. 비틀스 멤버들은 옥상에서 라이브로 할 수 없었던 몇몇 곡들, 예를 들면 'Let It Be' 'The Long And Winding Road' 'Across The Universe' 등의 녹음을 해서 일단 앨범 콘텐츠는 거의 완성을 보았다. 영화작업은 그런대로 잘 진행되었다.
        글린 존스는 우리가 알고 있는 앨범의 레퍼토리에 'Rocker' 'Save The Last Dance For Me' 'Teddy boy'가 포함된 트랙 리스트의 테이프를 제출했다. 비틀스는 만족하지 않았음은 물론 진행 중인 'Get Back' 작업을 일단 접고 대신 전혀 다른 새 앨범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그것이 <Abbey Road>였다. 따라서 기획시점으로 보면 <Abbey Road>가 비틀스의 마지막 앨범이 된다.
        <Abbey Road>가 69년 9월에 발표되고 해를 넘겨 글린 존스는 다시 'Get Back' 앨범을 정리해 비틀스에 제출했지만 이번에도 반응은 시큰둥했다. 70년 3월, 그 앨범을 다시 프로듀스한다는 차원에서 명망 높은 프로듀서 필 스펙터(Phil Spector)가 초청되었다. 공개를 앞둔 영화에 동반된 앨범이 요구되었기 때문이었다.
        필 스펙터는 문제의 3곡 'The Long And Winding Road' 'Across The Universe' 'Let It Be'를 오케스트레이션과 코러스 더빙을 통해 웅장한 버전으로 리믹스했다.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하프, 트럼펫, 트롬본 연주자와 코러스 싱어들이 대거 동원되었다.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는 그 결과에 만족하긴 했지만 그것은 애초 날 것을 만들고자 했던 기획과는 거리가 있는 성질의 것이었다.
        70년 4월 비틀스의 충격적인 해산소식이 발표되었고 다음달 8일 16개월의 산전수전을 겪은 끝에 사실상 그룹 최후 작품이 된 앨범이 마침내 공개되었다. 앨범 타이틀도 어느덧 에서 로 바뀌었다. 5일 뒤 영화시사회가 뉴욕에서 개최되었지만 뿔뿔이 흩어진 비틀스 멤버는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다.
        차트에서는 앨범의 타이틀곡이자 폴이 주도한 곡 'Let It Be'와 비틀스로부터의 독립에 이를 악문 존의 솔로 싱글 'Instant Karma' 간의 인기경쟁이 불을 뿜었다. 70년 5월, 앨범의 두 번째 싱글이자 비틀스의 마지막 싱글이 된 'The Long And Winding Road/ For You Blue'가 발표되었고 그와 함께 비틀스의 이름은 역사 속으로 들어갔다.

        앨범 <Let It Be... Naked>
        비틀스의 역사적인 <Let It Be> 앨범이 나온 지 32년이 흐른 2002년 2월 폴 매카트니와 당시 영화작업을 지휘한 마이클 린제이 호그(Michael Linsay-Hogg)는 우연히 비행기에 동승하여 둘 모두 결코 잊을 수 없는 <Let It Be>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두 사람은 과거를 회상하면서 엄청난 산고(産苦)를 겪으면서 불가피하게 결과가 변형되었던 그 문제의 앨범을 '원래대로 되돌리자'는데 합의했다. 즉 68년 12월과 69년 1월 비틀스가 꿈꾸었던 '백 투 배이직'의 의도를 회복시키자는 것이었다.
        엔지니어 알란 로즈, 폴 힉스, 가이 매세이 세 사람은 애플 스튜디오에 보관된 그 프로젝트의 33개 릴 테이프를 찾아내 18개월 간 원형복구 작업에 매달렸다. 먼저 필 스펙터에 의해 덧입혀진 오케스트레이션, 코러스 그리고 갖가지 효과를 걷어냈고 (그래서 앨범 타이틀이 벗겨낸다는 의미의 'Naked'이다), 그리고 난 뒤 거기에 현대의 디지털 기술을 가했다.
        애초 기획의 포인트였던 순수성을 탈환(?)하는 동시에 지금의 음반수요자들도 (옛 것을 듣는다는 수고 없이) 만족스럽게 들을 수 있는 '명징한' 사운드를 위해서였다. 그것은 '과거의 오리지널리티'와 '현대적 음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번 새 앨범은 우리가 알고 있는 <Let It Be> 앨범과는 형식과 질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달라진 것은 다음과 같다.

        ⑴ 'The Long And Winding Road'는 <Let It Be> 앨범에 수록된 버전과는 전혀 다른 후기의 테이크를 담았다. 비틀스가 초기 기획단계에서 원했던 완벽한 '날 것'인 셈이다.
        ⑵ 'Let It Be'와 'Across The Universe'는 필 스펙터에 의해 덧입혀진 오케스트레이션과 코러스를 걷어내 오리지널 상태를 구현했다.
        ⑶ 수록곡도 달라 원 앨범의 'Dig It'과 전통 민요를 그들 식으로 처리해낸 곡 'Maggie Mae'를 빼고, 대신 거기에 미국 판 앨범 에는 수록했으나 캐피틀 앨범에는 없는 곡 'Don't Let Me Down'를 넣었다. 그러나 이 곡 또한 오리지널과는 다르다.
        ⑷ 오리지널 앨범에 수록된 몇몇 곡 앞에 삽입된 리허설 라이브 멘트를 모두 뺐다. 대신 그들 의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 리허설과 '메이킹' 과정은 이란 제목으로 별도의 23분짜리 CD 한 장으로 엮어 과거의 것보다 훨씬 생생하고 자세하며 그간 알려지지 않은 내용의 단편을 소개하고 있다.
        ⑸ 수록곡의 순서도 바뀌었다. 원 앨범은 'Two Of Us'로 시작해서 'Get Back'으로 끝을 맺는다. 그것은 동반된 영화에 나오는 노래들을 순서로 엮은 것이었으나 이번 앨범의 첫 곡은 당시 작업 타이틀이었던 'Get Back'이며 마침표를 찍는 곡은 'Let It Be'이다.

        이번 앨범은 결코 향수와 복고 정서에 의존한 재발매나 통상적인 리마스트링 앨범이 아니다. 변이가 어쩔 수 없었던 70년 앨범이 남긴 아쉬움의 앙금을 뒤늦게라도 지우고 '기획초기'의 의중을 되찾기 위한 앨범이다. 진정한 <Let It Be> 기획 정신의 회복이다. 폴 매카트니와 링고 스타는 이를 통해 이미 세상에 없는 존 레논과 조지 해리슨을 향해 '그때 우리가 정말로 꿈꾸었던 것'을 바치는 것인지도 모른다. 대중에게 선사하기 이전에 '비틀 동지' 존과 조지 두 사람의 영전 앞에 놓는 늦깎이 선물이라고 할까.
        앨범이 나오기도 전에 이미 흩어졌던 네 사람이 비로소 다시 처음 만난 시절로 돌아가 못다 이룬 우정을 완성하는 의미에 다름 아니다. 폴 매카트니의 감회. “비틀스의 진정성은 '위대한 작은 밴드'였다는데 있다. 그것이 <Let It Be> 테이프가 보여주고 있는 것이며 또한 중요한 것이다!” 그가 표현하고 있는 '위대한 작은 밴드'란 말할 것도 없이 50년대 말 어린 시절, 오로지 음악으로 즐거웠고 그것에만 매진하며 쌓았던 우정의 결집체를 가리킨다. 친구 둘을 먼저 보낸 그와 링고는 그리하여 이번 앨범에 비틀스 캐리어의 마지막 정리라는 의미도 이입했을 것이다. 그래서 이번 앨범은 순수하면서 또한 숭고하다.
        비틀스 팬들에게는 더할 나위없는 축복의 선물이다. 비틀스 앨범 가운데 하나가 아니라 비틀스의 최후 실체를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마치 69년 1월의 그들 리허설에 자신도 직접 참여해 참관하고 있다는 기분이 들 것이다. 해산 후 33년 세월의 벽이 절로 허물어지며 멋진 4인(Fab Four)이 우리 곁에 아직도 있는, 아니 우리한테 다가오는 것 같은 느낌이다. 살아있는 전설이요, 전설의 용트림이다. 오리지널 음악의 회복이 아니라, 오리지널 비틀스의 재림이다. 비틀스는 결코 죽지 않는다.

        <수록곡>
        Get Back- <Let It Be>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곡으로 폴의 작품. 애플 옥상에서의 라이브에서 연주되었고 69년 5월 싱글로 발표되어 전미차트 정상을 5주간이나 차지한 빅히트 넘버이기도 하다. 링고 스타는 'Don't Let Me Down'과 더불어 이 곡이 프로젝트의 이상을 가장 잘 구현해냈다며 그 접근 방식을 자신의 솔로 싱글 'Back Off Boogaloo'에서 써먹었다고 말하고 있다.
        Dig A Pony- 존의 곡으로 그 시점 존의 노래가 모두 그렇듯 자신의 심정을 묘사한 내용이다. 주요 멜로디 파트에서 보이는 존의 보컬 악센트가 곡의 핵심이다.
        For You Blue- 조지 해리슨의 블루스 기타연주 필이 스며든 곡. 'The Long And Winding Road'의 싱글 뒷면에 담겨 발표되었다.
        The Long And Winding Road- 비틀스 최후의 싱글로 70년 5월에 발표되어 전미차트 1위에 올랐다. 적어도 미국 인기차트 활동에서 그들은 팝 역사상 최강자답게 1위(I Want To Hold Your Hand)로 시작해 1위로 끝을 맺었다. 이번 앨범의 곡은 당시 싱글의 웅장한 오케스트라와 코러스가 거세되어 오리지널이 갖는 나이브함의 진수를 보여준다. 폴의 작품.
        Two Of Us-존이 먼저 주요 멜로디를 노래하고 폴이 하모니와 후반 멜로디를 부르는 조화를 보이고 있지만 이 곡에서 Two는 필생의 콤비 존과 폴이 아니라, 폴과 린다를 가리킨다. 컨트리적 포크의 어쿠스틱한 맛이 도드라진 곡.
        I've Got The Feeling- 필생의 파트너 존과 폴의 완벽한 합작이다. 과거 'A Day In The Life'처럼 폴이 부르는 부분은 폴이 작곡하고, 존이 부르는 부분은 존이 써서 그 두 부분을 잘 연결해 결합시킨 콜라주 작품.
        One After 909- 로큰롤을 연주하던 초기 비틀스의 음악세계를 연상시키는 흥겨운 로큰롤로 존이 대부분을 써서 폴과 하모니를 이룬 곡이다. 존과 폴의 혈통이 로커임을 증명한다.
        Don't Let Me Down- 존과 요코를 맹렬히 힐난하던 언론과 주변인을 향한 존의 일침 같은 메시지의 이 곡은 'Get Back'과 더불어 애플 옥상에서 연주된 바 있다. 'Get Back'의 싱글 뒷면에 위치해 당시 차트 35위를 기록했다. 원래 앨범에 들어가 있지 않던 것을 이번 앨범에는 수록했다. 리믹스를 통해 기존 <Let It Be> 앨범의 것과는 다른 새로운 맛을 부여했다.
        I Me Mine- 조지 해리슨의 곡으로 존과 폴에 눌려있던 조지 해리슨의 자기세계 표현 의지를 담은 곡. 그의 멜로디 감수성은 물론, 반복되는 주요부분의 록 리듬 감각이 돋보인다.
        Across The Universe- 필 스펙터에 의해 입혀진 웅장한 오케스트라와 코러스를 빼내 애초 비틀스가 원한 날 것의 맛을 회복했다. 이번 앨범 리믹스 작업의 핵심이 된 곡 중의 하나. 70년 당시 싱글로 발표되지 않았지만 폴의 두 히트 싱글 못지않게 애청되었다. '아무 것도 나를 바꾸지 못해'라는 내용이 말하듯 존의 단호한 자기 노선을 암시하는 곡이다.
        Let It Be- 어떤 클래식 작곡가도 만들어내지 못하는 환상적인 멜로디로 당대의 음악 팬들을 사로잡은 명곡 중의 명곡. 당시 전미차트 정상을 차지했다. 이번 앨범에는 기존의 코러스는 살렸으나 오케스트레이션은 삭제했다. 70년 당시 어지러운 세상에서 참여 아닌 관조의 가치를 역설하는 폴의 사고가 아로 새겨진 작품이기도 하다.
      • 2003/11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On Air - Live At The BBC Volume 2   비틀스 임진모 2013 11729
        Love 비틀스 임진모 2006 13505
        Let It Be.... Naked 비틀스 임진모 2003 13356
        The Beatles One 비틀스 임진모 2000 13799
        The Beatles/1962-1966   비틀스 임진모 1973 14745
        Let It Be 비틀스 이기찬 1970 10365
        Abbey Road   비틀스 임진모 1969 15708
        Yellow Submarine 비틀스 IZM 1969
        The Beatles [White Album]   비틀스 임진모 1968 16945
        Magical Mystery Tour 비틀스 IZM 196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스 임진모 1966 20715
        Revolver 비틀스 IZM 1966
        Rubber Soul   비틀스 임진모 1965 14326
        Help! 비틀스 IZM 1965
        A Hard Day’s Night 비틀스 IZM 1964
        Please Please Me   비틀스 임진모 1963 14141
        With The Beatles 비틀스 IZM 1963
      • 아티클
      • 비틀스(Beatles) ‘Let it be’ 비틀스 이무영 11374
        Beatles for Sale, Now on iTunes 비틀스 성원호 10333
        다시 만나는 영원한 팝의 전설 비틀스 비틀스 고영탁 13255
        비틀스 팬들의 필독도서 출간! 비틀스 고영탁 10804
        비틀스의 끝없는 환생 비틀스 임진모 12410
        Paul in the USSR! 비틀스 윤석진 9130
        비틀스의 미공개 테이프 발견! 비틀스 김소연 8982
        뉴 밀레니엄에도 1등 그룹 비틀스 비틀스 임진모 7415
        비틀스의 찬란한 영광 - 스물 일곱 넘버원 곡 비틀스 임진모 8175
        새 천년에도 계속될 비틀스 열기 비틀스 임진모 7577
        비틀스는 살아있다. 비틀스 임진모 7648
        비틀스신화 다시 살아났다 비틀스 임진모 8362
      • 관련 앨범 리뷰
      • Egypt Station 폴 매카트니 박수진 2018 7274
        Postcards From Paradise 링고 스타 이기찬 2015 5023
        New 폴 매카트니 신현태 2013 9114
        Kisses On The Bottom 폴 매카트니 신현태 2012 9010
        Paul McCartney's Ocean's Kingdom 폴 매카트니 IZM 2011
        Y Not 링고 스타 소승근 2010 7803
        Good Evening New York City 폴 매카트니 IZM 2009
        Memory Almost Full 폴 매카트니 IZM 2007
        Photograph: The Very Best Of Ringo Starr 링고 스타 고영탁 2007 8493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mastering] 조지 해리슨 고영탁 2007 11993
        Ecce Cor Meum 폴 매카트니 IZM 2006
        Chaos And Creation In The Backyard 폴 매카트니 소승근 2005 9317
        Back in the World: Live 폴 매카트니 IZM 2003
        Brainwashed 조지 해리슨 이기찬 2002 6090
        Back in the U.S. 폴 매카트니 IZM 2002
        Driving Rain 폴 매카트니 배순탁 2002 9546
        Liverpool Sound Collage 폴 매카트니 IZM 2000
        Run Devil Run 폴 매카트니 IZM 1999
        Flaming Pie 폴 매카트니 IZM 1997
        Lennon Legend: The Very Best Of John Lennon 존 레논 IZM 1997
        Paul Is Live 폴 매카트니 IZM 1993
        Off the Ground 폴 매카트니 IZM 1993
        Live In Japan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IZM 1992
        Liverpool Oratorio 폴 매카트니 IZM 1991
        Unplugged (The Official Bootleg) 폴 매카트니 IZM 1991
        Tripping the Live Fantastic 폴 매카트니 IZM 1990
        Flowers in the Dirt 폴 매카트니 IZM 1989
        Choba B CCCP 폴 매카트니 IZM 1988
        Cloud Nin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7 11797
        Press to Play 폴 매카트니 IZM 1986
        Give My Regards to Broad Street 폴 매카트니 IZM 1984
        Pipes of Peace 폴 매카트니 IZM 1983
        Tug of War 폴 매카트니 IZM 1982
        Gone Troppo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2 9549
        The John Lennon Collection 존 레논 IZM 1982
        Stop And Smell The Roses 링고 스타 이기찬 1981 4347
        Somewhere In England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81 10187
        Double Fantasy 존 레논 이기찬 1980 6398
        McCartney II 폴 매카트니 IZM 1980
        Back to the Egg 폴 매카트니 IZM 1979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9 10066
        London Town 폴 매카트니 IZM 1978
        Thrillington 폴 매카트니 IZM 1977
        Wings Over America 폴 매카트니 IZM 1976
        Wings at the Speed of Sound 폴 매카트니 IZM 1976
        33⅓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6 9645
        The Best Of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76 10892
        Rock ‘n’ Roll 존 레논 이기찬 1975 5138
        Venus and Mars 폴 매카트니 IZM 1975
        Extra Texture(Read All About It)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5 9673
        Walls And Bridges 존 레논 이기찬 1974 5487
        Dark Hors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4 10554
        Mind Games 존 레논 이기찬 1973 5042
        Ringo 링고 스타 이기찬 1973 5074
        Band on the Run 폴 매카트니 IZM 1973
        Red Rose Speedway 폴 매카트니 IZM 1973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3 10033
        Sometime In New York City 존 레논 이기찬 1972 4852
        Concert For Bangla Desh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2 9714
        Ram 폴 매카트니 이기찬 1971 6169
        Wild Life 폴 매카트니 IZM 1971
        Imagine   존 레논 윤석진 1971 13013
        McCartney 폴 매카트니 이기찬 1970 6391
        Plastic Ono Band   존 레논 임진모 1970 9947
        All Things Must Pas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0 11729
        Electronic Sound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9 9944
        Wonderwall Music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8 11063
      • 관련 싱글 리뷰
      • Come on to me 폴 매카트니 이택용 2018 4169
        We're on the road again 링고 스타 이택용 2017 3142
        New 폴 매카트니 이종민 2013 8191
        Cut me some slack 폴 매카트니, 데이브 그롤, 크리스 노보셀릭 신현태 2013 11588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앤 마리, 민니 ((여자)아이들)
        Expectations
        • [Album]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 [Single] Some things don't change
        • [Single] Miracle
        • [Single] Expectations
        • [Single] Freshman
        • [Single] Young, dumb, stupid
        • [Interview] 박승화 인터뷰
        • [Album] Bless This Mess
        • [Library] Force Deux
        • [Album] Holy
        • [Album] 호프리스 로맨틱
        • [Feature] 반지의 제왕 : 왕의 귀환(The Lord Of The Rings : Return Of The King, 2003)
        • [Single] Sugar sweet
        • [Single] Best day ever
        • [Album] Be Awake
      • 인기 콘텐츠
      • <The Fifty>

        피프티 피프티(FIFTY FIFTY)

        <W.A.Y>

        트라이비(TRI.BE)

        <First Of All>

        박혜원(HYNN)

        <H1-KEY 1st Mini Album [Rose Blossom]>

        하이키(H1-KEY)

        <Indigo>

        알엠(RM)

        <After The Magic>

        파란노을(Parannoul)





      • Editors' Choice
      • ٣ (Trois)
        애시드 아랍
        프랑스에서 서아시아, 북아프리카까지. 3대륙 사운드 교류가 펼쳐지는 일렉트로닉 실크로드.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30 : 2020년 이후 당신이 기억해야 할 (숨겨진) K팝 트랙! with 정민재 평론가
        • [뮤직 클라우드] EP. 29 : 밴드 열전! 자우림 & 크랜베리스
        • [뮤직 클라우드] EP. 28 : 2023 국/내외 뮤직 페스티벌 여기 어때...
        • [뮤직 클라우드] EP. 27 : 한성현의 영화음악
        • [뮤직 클라우드] EP. 26 : 좋은 음악 같이 들어요 특집 with. 임...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