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POP
      • Rubber Soul
        1965
        비틀스(Beatles)
      • DATE : 2001/02   |   HIT : 14326
      • by 임진모
      • 록 평론가 그렉 쇼(Greg Shaw)는 비틀스 음악의 우수성을 논하면서 그 원천으로 기존의 모든 음악을 수용해 자기 스타일화한 '스폰지 같은 흡수력'을 지적했다. 그는 비틀스가 버디 할리, 척 베리, 엘비스 프레슬리의 50년대 초기 로큰롤뿐만 아니라 60년대에 서구 사회에 존재했던 모타운 레코드사의 리듬 앤드 블루스, 서프 음악, 필 스펙터의 월 오브 사운드 그리고 라틴 음악, 유럽 음악을 포괄하여 독창적인 '비틀 사운드'를 창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그렉 쇼가 하나 빠트린 것이 하나 있다. 64년 미국정복으로 천하통일을 이룩한 비틀스는 모든 것을 안다고 자부했으나 막상 미국에 상륙해보니 전혀 자신들이 모르고 있던 음악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바로 밥 딜런의 포크 음악이었다.

        비틀스는 이런 깊이 있는 음악이 존재한다는 것에 일종의 경외를 느꼈다. 그리고 이 음악이 미국 청년들을 사로잡고 있는 것에 또 놀랐다. 특히 자의식(自意識)이 강했던 존 레논에게 메시지가 두드러진 포크는 일대 충격을 안겨주었다. 딜런이 비틀스에 영향받아 록의 문법을 받아들였듯이 이번에는 비틀스가 스스로 딜런의 지구촌에 뒤늦게 빨려 들어가게 된 것이다 (대중음악에는 이 같은 교차 영향의 사례가 적지 않다).

        이전까지 비틀스의 음악은 로큰롤의 형식에 충실하긴 했지만 가사는 남녀간 애정을 소재로 한 '소년이 소녀를 만나다'식의 시시콜콜한 얘기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비틀스는 밥 딜런의 충격 이후 10대 팬들에게 거리감을 줄지 모를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뭔가 무게 있는 노랫말의 음악을 하고자 했다. 사랑을 노래하더라도 드러내놓는 내용보다 애매모호하고 감추어진 측면을 묘사하고 싶었다. 그들은 변화를 원했다.

        이런 배경 속에서 비틀스의 초기 걸작 <러버 소울>이 탄생했다. 폴 매카트니는 제목에 별다른 뜻이 없다고 했지만 '고무 정신'이라는 의미부터가 이전의 음반들과는 달랐다. 수록곡의 가사를 초기작과 비교해보면 금방 차이가 확인된다.

        난 무언가 얘기할 거야. 너도 이해하겠지. 그럼 그것을 말할 테야. 난 네 손을 잡고싶어. '네 손을 잡고싶어'(I want to hold your hand)

        지나간 사람들과 일에 애정을 잃지 않고 난 가끔 멈추어 그들을 생각할 거야. 내 인생의 길목에서 난 너희를 더욱 사랑할 거야. '내 인생의 길목에서'
        (In my life)

        앞 곡은 64년 2월 미국 데뷔 곡이고 뒷 곡은 65년 12월에 나온 이 앨범의 수록 곡이다. 평론가 그레일 마커스의 표현대로 <러버 소울>에 나타난 사랑은 초기 곡에서는 제거되었던 '살아 있는 사랑'이었다. 거친 에너지는 표면 아래로 숨었다. 가사는 다의(多意)적이어서 그 의미를 자꾸 되새기게끔 하고 있다.

        비틀스는 이 앨범에서 어떠한 싱글도 발표하지 않았다. 팬들에게 앨범 전체를 하나의 음악으로 받아들여 달라는 요구였다. 사실 이 작품은 처음부터 상업적 싱글의 개념을 거부하고 온전한 하나의 앨범을 만들겠다는 존과 폴의 구상에 따라 구체화되었다. 이 때문에 <러버 소울>은 비틀스 네 사람의 그룹 결속력이 최고로 발휘된 음반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내 인생의 길목에서'와 함께 존 레논이 쓴 곡 '여자'(Girl)는 이 앨범의 백미로 본인은 사랑의 가변성에 대한 사려 깊은 반성을 담았다.

        그녀는 젊었을 때 명성이 쾌락을 가져온다는 얘기를 들었을까. 남자가 여가 시간을 갖기 위해 등이 부숴지게 일해야 한다고 할 때 그 말을 이해했을까. 그가 죽었을 때도 여전히 그 얘길 믿을까

        이 곡에서 여자가 종교일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존 레논의 종교를 보는 시각이 담겨진 노래라는 것이다. '여자=종교'로 대입하여 가사를 다시 음미할 경우 내용은 꽤나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만약 그렇다면 종교란 괴로움의 바다에서 우리를 건져주지만 그 효과는 순간적이며 인격의 파탄과 황폐화라는 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해석이 도출된다.

        이 무렵 존은 기독교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이 음반이 발표되고 얼마 후 그는 런던「이브닝 스탠더드」지 모린 클리브기자와의 인터뷰에서 “기독교는 사라질 것이다. 그것은 종적을 감추고 움츠러들 것이다. 더 이상 논쟁할 필요조차 없다. 우리는 지금 예수보다 더 인기가 있다(We are more popular than Jesus)”라는 충격 발언을 터트려 일대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폴 매카트니는 여전히 선율에 관한 한 발군이었다. '난 방금 얼굴을 봤지'(I've just seen a face)나 이듬해 그래미상에서 '올해의 곡' 부문을 수상한'미셸'(Michelle)을 들으면 대부분은 그의 멜로디 제조 능력에 즉시 포박되고 만다. 경쾌하면서도 매력이 넘치는 '난 널 뚫어지게 보고 있지'(I'm looking through you)'넌 날 보지 못할 거야'(You won't see me)도 역시 폴이 쓴 곡들이다. 뒷 곡은 74년 캐나다 여가수 앤 머레이가 다시 불러 히트시켰다.

        '스스로 생각해'(Think for yourself)는 레논 매카트니 콤비의 벽을 뚫고 이 앨범에서 조지 해리슨이 작곡해 부른 유일한 곡이다. CD에 있는 '어떻게 된거지'(What goes on)는 링고가 노래하고 있지만 곡은 존과 폴이 썼다.

        조지 해리슨은 이 앨범의 또 하나 명곡 '노르웨이의 숲'(Norwegian wood)에서 기타와 비슷한 인도의 전통 악기 시타(sitar)를 도입하여 연주했다. 다소 실험적인 이 곡은 시타 연주에 담긴 탈(脫) 서구 이데올로기뿐 아니라 종전과는 판이한, 약간은 음산하며 전위적인 분위기로 많은 록 뮤지션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한국에까지도 현상을 일으킨 일본 무라카미 하루끼의 소설이 바로 이 곡의 제목을 빌리고 있다.

        이 앨범은 비틀스 4인의 특별한 결합을 통한 '우수 곡들의 모음집'이다. 싱글도 없으면서 다수의 애청곡이 나온 것이 좋은 곡이 많기 때문이다. 평론가나 아티스트 가운데 일부가 예를 들면 빌리 조엘이 딴 것을 제쳐두고 이 앨범을 최고의 음반으로 꼽는 이유다.

        이 앨범을 계기로 비틀스는 틴에이저 지향의 그룹에서 탈피하여 전무후무한 '전 세대 관통'의 그룹으로 도약하게 되었다. 이러한 약진은 곧바로 66년 또 하나의 명반 <리볼버>를 주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대는 물론 출반 당시에도 사람들에게 엄청난 놀라움을 준 앨범이다. 비틀스의 라이벌 비치 보이스와 롤링 스톤스도 놀랐다. 그들은 이 앨범을 접하고 쇼크를 받아 이 작품을 넘어서는 걸작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게 되었다. 비틀스는 수요자들에게만 충격을 준 게 아니라 동료 음악인들에게도 충격을 주었다.
      • 2001/02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On Air - Live At The BBC Volume 2   비틀스 임진모 2013 11730
        Love 비틀스 임진모 2006 13506
        Let It Be.... Naked 비틀스 임진모 2003 13358
        The Beatles One 비틀스 임진모 2000 13799
        The Beatles/1962-1966   비틀스 임진모 1973 14747
        Let It Be 비틀스 이기찬 1970 10368
        Abbey Road   비틀스 임진모 1969 15709
        Yellow Submarine 비틀스 IZM 1969
        The Beatles [White Album]   비틀스 임진모 1968 16950
        Magical Mystery Tour 비틀스 IZM 196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스 임진모 1966 20720
        Revolver 비틀스 IZM 1966
        Rubber Soul   비틀스 임진모 1965 14326
        Help! 비틀스 IZM 1965
        A Hard Day’s Night 비틀스 IZM 1964
        Please Please Me   비틀스 임진모 1963 14148
        With The Beatles 비틀스 IZM 1963
      • 아티클
      • 비틀스(Beatles) ‘Let it be’ 비틀스 이무영 11375
        Beatles for Sale, Now on iTunes 비틀스 성원호 10335
        다시 만나는 영원한 팝의 전설 비틀스 비틀스 고영탁 13257
        비틀스 팬들의 필독도서 출간! 비틀스 고영탁 10804
        비틀스의 끝없는 환생 비틀스 임진모 12410
        Paul in the USSR! 비틀스 윤석진 9130
        비틀스의 미공개 테이프 발견! 비틀스 김소연 8984
        뉴 밀레니엄에도 1등 그룹 비틀스 비틀스 임진모 7415
        비틀스의 찬란한 영광 - 스물 일곱 넘버원 곡 비틀스 임진모 8175
        새 천년에도 계속될 비틀스 열기 비틀스 임진모 7579
        비틀스는 살아있다. 비틀스 임진모 7649
        비틀스신화 다시 살아났다 비틀스 임진모 8366
      • 관련 앨범 리뷰
      • Egypt Station 폴 매카트니 박수진 2018 7277
        Postcards From Paradise 링고 스타 이기찬 2015 5027
        New 폴 매카트니 신현태 2013 9116
        Kisses On The Bottom 폴 매카트니 신현태 2012 9011
        Paul McCartney's Ocean's Kingdom 폴 매카트니 IZM 2011
        Y Not 링고 스타 소승근 2010 7803
        Good Evening New York City 폴 매카트니 IZM 2009
        Memory Almost Full 폴 매카트니 IZM 2007
        Photograph: The Very Best Of Ringo Starr 링고 스타 고영탁 2007 8493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mastering] 조지 해리슨 고영탁 2007 11998
        Ecce Cor Meum 폴 매카트니 IZM 2006
        Chaos And Creation In The Backyard 폴 매카트니 소승근 2005 9319
        Back in the World: Live 폴 매카트니 IZM 2003
        Brainwashed 조지 해리슨 이기찬 2002 6091
        Back in the U.S. 폴 매카트니 IZM 2002
        Driving Rain 폴 매카트니 배순탁 2002 9549
        Liverpool Sound Collage 폴 매카트니 IZM 2000
        Run Devil Run 폴 매카트니 IZM 1999
        Flaming Pie 폴 매카트니 IZM 1997
        Lennon Legend: The Very Best Of John Lennon 존 레논 IZM 1997
        Paul Is Live 폴 매카트니 IZM 1993
        Off the Ground 폴 매카트니 IZM 1993
        Live In Japan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IZM 1992
        Liverpool Oratorio 폴 매카트니 IZM 1991
        Unplugged (The Official Bootleg) 폴 매카트니 IZM 1991
        Tripping the Live Fantastic 폴 매카트니 IZM 1990
        Flowers in the Dirt 폴 매카트니 IZM 1989
        Choba B CCCP 폴 매카트니 IZM 1988
        Cloud Nin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7 11802
        Press to Play 폴 매카트니 IZM 1986
        Give My Regards to Broad Street 폴 매카트니 IZM 1984
        Pipes of Peace 폴 매카트니 IZM 1983
        Tug of War 폴 매카트니 IZM 1982
        Gone Troppo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2 9550
        The John Lennon Collection 존 레논 IZM 1982
        Stop And Smell The Roses 링고 스타 이기찬 1981 4349
        Somewhere In England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81 10192
        Double Fantasy 존 레논 이기찬 1980 6402
        McCartney II 폴 매카트니 IZM 1980
        Back to the Egg 폴 매카트니 IZM 1979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9 10067
        London Town 폴 매카트니 IZM 1978
        Thrillington 폴 매카트니 IZM 1977
        Wings Over America 폴 매카트니 IZM 1976
        Wings at the Speed of Sound 폴 매카트니 IZM 1976
        33⅓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6 9650
        The Best Of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76 10894
        Rock ‘n’ Roll 존 레논 이기찬 1975 5139
        Venus and Mars 폴 매카트니 IZM 1975
        Extra Texture(Read All About It)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5 9674
        Walls And Bridges 존 레논 이기찬 1974 5489
        Dark Hors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4 10558
        Mind Games 존 레논 이기찬 1973 5043
        Ringo 링고 스타 이기찬 1973 5075
        Band on the Run 폴 매카트니 IZM 1973
        Red Rose Speedway 폴 매카트니 IZM 1973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3 10037
        Sometime In New York City 존 레논 이기찬 1972 4854
        Concert For Bangla Desh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2 9714
        Ram 폴 매카트니 이기찬 1971 6174
        Wild Life 폴 매카트니 IZM 1971
        Imagine   존 레논 윤석진 1971 13016
        McCartney 폴 매카트니 이기찬 1970 6394
        Plastic Ono Band   존 레논 임진모 1970 9948
        All Things Must Pas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0 11735
        Electronic Sound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9 9945
        Wonderwall Music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8 11065
      • 관련 싱글 리뷰
      • Come on to me 폴 매카트니 이택용 2018 4171
        We're on the road again 링고 스타 이택용 2017 3142
        New 폴 매카트니 이종민 2013 8196
        Cut me some slack 폴 매카트니, 데이브 그롤, 크리스 노보셀릭 신현태 2013 11592
      • 최근 업데이트
      • Interview
        박승화 인터뷰
        • [Album]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 [Single] Some things don't change
        • [Single] Miracle
        • [Single] Expectations
        • [Single] Freshman
        • [Single] Young, dumb, stupid
        • [Interview] 박승화 인터뷰
        • [Album] Bless This Mess
        • [Library] Force Deux
        • [Album] Holy
        • [Album] 호프리스 로맨틱
        • [Feature] 반지의 제왕 : 왕의 귀환(The Lord Of The Rings : Return Of The King, 2003)
        • [Single] Sugar sweet
        • [Single] Best day ever
        • [Album] Be Awake
      • 인기 콘텐츠
      • <The Fifty>

        피프티 피프티(FIFTY FIFTY)

        <W.A.Y>

        트라이비(TRI.BE)

        <First Of All>

        박혜원(HYNN)

        <H1-KEY 1st Mini Album [Rose Blossom]>

        하이키(H1-KEY)

        <Indigo>

        알엠(RM)

        <After The Magic>

        파란노을(Parannoul)





      • Editors' Choice
      • Food For Worms
        셰임
        당신의 모든 감각을 일깨울 고자극 펑크(Punk) 테라피.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30 : 2020년 이후 당신이 기억해야 할 (숨겨진) K팝 트랙! with 정민재 평론가
        • [뮤직 클라우드] EP. 29 : 밴드 열전! 자우림 & 크랜베리스
        • [뮤직 클라우드] EP. 28 : 2023 국/내외 뮤직 페스티벌 여기 어때...
        • [뮤직 클라우드] EP. 27 : 한성현의 영화음악
        • [뮤직 클라우드] EP. 26 : 좋은 음악 같이 들어요 특집 with. 임...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