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 삼부작의 시작, < 반지의 제왕 : 반지 원정대 >(The Lord Of The Rings : The Fellowship Of The Ring)로 2002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오스카 트로피를 거머쥔 후, 시리즈의 마지막 편인 < 반지의 제왕 : 왕의 귀환 >(The Lord Of The Rings : The Return Of The King)으로 쇼어는 다시 한번 아카데미 음악상의 주인공이 되었다. 더욱이 영화의 대미를 장식한 주제가 'Into the west'의 작곡가로 작사가 프랜 월시(Fran Walsh)와 가수 에니 레녹스(Annie Lennox)를 대동해 최우수 주제가상(Best Original Song)까지 모두 품에 안아 그야말로 영화음악 킹(King)의 대관식을 치른 셈.
< 반지의 제왕 : 두 개의 탑 >(The Lord Of The Rings : The Two Towers)를 포함, 삼부작이 모두 그래미 시상식에서 시각 매체를 위한 최우수 스코어 사운드트랙(Best Score Soundtrack for Visual Media) 부문 삼관왕을 차지했을 뿐 아니라, 삼부 < 왕의 귀환 >은 시각 매체를 위한 최우수 노래(Best Song for Visual Media) 부문 트로피도 쇼어의 몫이었다. 오스카와 그래미 모두 그를 왕좌에 앉히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감독 데이비드 크로넨버그(David Cronenberg)의 동반자로서 작곡가 쇼어는 스릴러와 서스펜스 장르 영화에 조응해 공포와 위협, 그리고 지속적인 긴장으로 고통을 자아내는 스코어를 전문적으로 써왔으며, 그 방면에 일가견이 있는 작곡가였다. 1979년 < 브루드 >(The Brood)를 시작으로, < 반지의 제왕 > 이전 단편영화 < 카메라 >(Camera)까지 10여 편에 달하는 작품에서 크로넨버그 감독의 시각적 연출을 완성하는 방점을 찍어줬으며, 1991년 < 양들의 침묵 >(The Silence of the Lambs), 1995년 < 세븐 >(Seven)과 같은 범죄, 스릴러, 심리, 공포극을 명화의 반열에 올리는데 쇼어의 공이 컸다.
다수의 명작영화에 음악을 제공한 작곡가로서 존경받아왔지만, 오스카와 인연을 맺지 못한 그에게 < 반지의 제왕 >은 이제까지 축적한 내공을 확실히 인정받을 수 있는 일생일대의 전환점이 된 작품. 피터 잭슨(Peter Jackson) 감독과의 첫 만남을 통해 영화음악 장인 하워드 쇼어는 마침내 자신의 명성을 지구촌 전역에 알렸다.
|
톨킨의 소설 3권 중 마지막인 < 왕의 귀환 >은 부활한 마법사 간달프(이안 맥켈렌)와 아라곤(비고 모텐슨), 레골라스(올랜도 블룸), 김리(존 리스-데이비스)가 로한과 곤도르의 군대와 협력해 사악한 사우론과 그의 오크 군대로부터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최후의 전투를 벌인다. 나무 거인 종족 엔트의 도움으로 사루만과 아젠가드를 파괴한 메리(도미니크 모나한)와 피핀(빌리 보이드)은 한편, 연합군 최후의 보루라 할 수 있는 국가 곤도르의 수도 미나스 티리스와 성곽 앞에 펼쳐진 대평원 펠렌노르를 수호하기 위해 동료들과 합류한다. 프로도 (엘리야 우드)와 샘 (숀 아스틴)은 '소중한 보물'(Precious) 절대 반지를 되찾기 위해 호시탐탐 노리는 골룸과 함께 어둠의 땅 모르도르로 험난한 여정을 계속하고, 마침내 운명의 산(Mount Doom)에 당도한다.
< 왕의 귀환 >은 < 두 개의 탑 >과 < 반지원정대 >의 스코어와 같은 맥락에서 기본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오케스트레이션의 밀도, 액션의 강도, 기악 독주의 서정성, 합창단의 힘, 모두 이전 시리즈의 스코어에서 익숙한 몇몇 테마를 반복 재생하고 풍부한 대편성 오케스트라에 따른 음악을 투영한다. 핵심 주제인 '절대 반지의 테마', '사우론의 테마', '반지의 악령 나즈굴의 테마', 절제된 '반지원정대 테마'가 연속해서 빠르게 전개되는 라이트모티프 구조는 '로한', '아이젠가드', '샤이어'를 위한 모티프와 요정 '아르웬의 테마', 그리고 서사구조 상 얽힌 다른 등장인물이나 상황들과 아울러 스코어 전반에 널리 퍼져있다.
이처럼 친숙한 요소와 함께 최종회인 3부에서는 몇 가지 새로운 모티프와 테마가 등장한다. 곤도르(Gondor)와 회색 항구(The Grey Havens)가 일례. 1부 < 반지원정대 >의 지시 악곡 엘론드 협의회에서 간략히 묘사된 바 있는 곤도르 테마는 'Minas Tirith(미나스 티리스)'와 'The White'(백색의 간달프)의 대미를 극적이고 영웅적인 금관악으로 웅변한다. '회색 항구'의 테마는 'The black gate opens'에서 처음 등장하며, 'The grey havens'에서 가장 인상적인 연주를 들려주고, 잊히지 않는 플루트 모티프에서 평화롭고 온화한 분위기로 발전하면서 대규모 오케스트라의 형식을 기반으로 한 최후의 노래로 아름답게 이어진다.
|
오케스트라의 편성은 이전의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합창단과 성악, 그리고 특별한 기악 연주자가 특정 지점에서 중심으로 나서는 식, 소년 소프라노 벤 델 마에스트로(Ben Del Maestro)가 'Minas Tirith'에서 천사와 같은 음색으로 노래하고, 거장 소프라노 르네 플레밍(Renee Fleming)이 'Twilight and shadow'에서 아르웬을 향한 아라곤의 사랑 감정을 영묘한 가창으로 완벽히 포착한다. 전설적인 플루트 연주자 제임스 골웨이(James Galway) 경은 피날레의 여러 트랙에 고전적인 감각을 더하여 연계한 일련의 사건 영상 속에서 호빗과 같은 역할을 한다.
영국 출신 뉴웨이브(New-Wave) 팝 듀오 유리스믹스(Eurythmics)의 여가수 애니 레녹스(Annie Lennox)는 엔야(Enya)와 에밀리아 나 토리니(Emiliana Torrini)와 같이 영화의 종영인물자막과 함께 대미를 장식한 노래 'Into the west'를 가창했다. 출연 배우 빌리 보이드(Billy Boyd)와 비고 모텐슨(Viggo Mortensen)은 극 중 피핀과 아라곤 역으로 'The steward of Gondor'에서 각자의 음성을 들려주고, 'The return of the king'에서 곤도르의 왕으로서 자신의 대관식 축가 격의 노래로 모텐슨은 다시 한번 등장한다.
또 주목해야 할 곡으로 'Minas Morgul'은 독주자 얀 헨드릭세(Jan Hendrikse)가 연주한 모로코 목관악기 레이타(rhaita) 소리가 작곡가 쇼어의 1999년 작 < 더 셀 >(The Cell) 악보에서 또 다른 모로코 악기 자조우카(Jajouka)의 반주를 연상케 한다. 마찬가지로 'Shelob's lair'는 일련의 불협화음과 생생하며 무서운 분위기의 단조 반주로 어둠 속의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킨다. 'Ash and smoke'에서 'The end of all things'에 이르는 곡의 흐름은 경외감을 일으키며, 절대 반지를 파괴하려는 프로도와 샘의 마지막 필사적 시도로 인간과 오크 사이에 벌어지는 대규모 전투를 교차해 악곡에 담아냈다.
|
전운을 드리우는 북이 끊임없이 울리고, 합창단이 하늘을 향해 노래하며, 천둥처럼 포효하는 금관 악기, 점점 더 고조하는 현악이 협주하는 가운데, 플레밍의 소프라노 독창이 반지의 운명을 대변하듯 비통하게 우짖는다. 이는 서사적 모험에 대한 장엄한 결말의 대단원으로 연계한다. 장엄한 10분짜리 'The return of the king'은 모든 것을 마무리한다. 총 3부작의 거의 모든 주요 주제가 여기에 요약되어 나타난다. 미래를 향한 목적의식과 사악한 힘에 맞서 성취한 최종결과와 희망을 함축한 곡.
쇼어는 삼부에 걸쳐 장대한 판타지 서사극을 음악으로 보조하면서 새로운 요소를 도입하기도 했지만, 작법의 기준을 시리즈 전반에 걸쳐 유지했다. 톨킨의 원서에 근거한 영화적 시각은 3부작에 걸쳐 나뉘었음에도, 본질적으로 이야기는 일맥상통하며 쇼어는 그 맥락을 정확히 짚고 자연스레 연계하는 스코어를 완성했다. 여러 주제와 모티프를 활용해 9시간이 넘는 영화를 스코어링하는 가운데, 자신의 기본에 충실해 절제미를 유지했다. 대규모 오케스트라에 따른 반주는 대체로 웅대하고 장엄하며, 때론 종교적인 오페라가 인류 생명의 구원에 대한 성서적 음악이 이야기의 문맥을 관통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그 결말은 소소하고 개인적임을 민속적 기악편성으로 조응했다. 'The return of the king'에서 켈트(Celt) 음악에 근거한 샤이어의 테마를 마지막으로 부드럽게 재현해냄으로써 쇼어의 음악은 마침내 기나긴 여정의 끝이 평화로운 원래로 돌아왔음을 알린다.
< 반지의 제왕 > 3부작에서 하워드 쇼어는 영화음악 작곡가로서 자신의 공력이 절정에 달했음을 작품성으로 증명했다. 아카데미가 그 작품성을 인정한 만큼 중대한 순간이었고, 그러한 그의 음악적 영감이 후대에 미칠 영향력을 가늠할 수 있게 해준 일대 사건이었다. < 왕의 귀환 >을 종점으로 3부작 내내 달려온 쇼어의 음악 여정은 21세기 영화사에 판타지 장르가 최초로 이룬 위업과 함께했으며, 영화음악의 측면에서도 진정으로 주목할 만한 역할의 완성이었다.
|
-스코어 사운드트랙 수록곡-
01. A storm is coming(폭풍이 오고 있다) (2:52)
왈츠풍의 곡조로 시작하는 주제는 절대 반지에 대한 것으로, 호빗을 묘사한 경쾌한 관현악 협주가 전개되고, 바이올린 독주에 따라 반지의 주제를 더욱 강조한 후, 반지의 악령 나즈굴과 사우론의 테마를 관악기 주도의 오스티나토(ostinato) 형식을 통해 공격적으로 재현하면서 마무리된다.
02. Hope and memory(희망과 기억) (1:45)
전곡과 마찬가지로 호빗의 찬송으로 전개해 반지원정대 테마로 마무리되는 곡은 이전 두 작품의 주요 모티프를 재현하면서 여러 등장인물을 소개하는데 적합한 형식을 취한다. 바그너 라이트모티프 방식의 충실한 재현.
03. Minas Tirith(미나스 티리스) (3:37)
어두운 저음 현과 금관악, 그리고 박진하는 타악기로 시작해 대규모 합창과 금관악의 합세로 강화하고, 소년의 독창과 합창으로 이어지는 곡의 전개는 전쟁이 임박한 상황을 묘사한다. 호른 독주에 따라 의기양양하게 고조하는 후반부 곡조는 곤도르 왕국 사람들을 위한 것이며, 반지원정대의 결속력 강조하는 주제로 빠르게 변주한다.
04. The white tree(백색 나무) (3:25)
곤도르의 동굴을 지나가는 간달프와 피핀, 길목에 자리한 백색 나무는 한때 장엄했던 나무의 슬픔을 불러일으키는 애처로운 곡조로 도입하지만, 점점 박동수를 증가하며 격렬하게 탄주하는 현은 곤도르의 테마와 함께 또 다른 승리를 향해 고조한다. 스코어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
05. The steward of Gondor(곤드르의 섭정) (3:53)
인류 최후의 보루인 곤도르 성을 장대한 오케스트라로 소개한 후, 간달프와 피핀이 Gandalf와 Pippin이 섭정 데네도르와 그의 둘째 아들 파라미르를 찾아 알현한다. 희미하게 울리는 전쟁의 북소리가 반복해서 재현되며, 아이리시 틴 휘슬(또는 페니 휘슬)가 특별히 울리는 가운데, 곤도르의 주제가 처음 나타나고, 서서히 고조하는 현악 악절이 금관 악기와 함께 웅비한다. 곧이어 빌리 보이드의 피핀이 지속적인 불안감을 자아내는 현악과 목가적인 곡조에 맞춰 독창하며 중심에 나선다.
06. Minas Morgul(미나스 모르굴) (1:58)
반지의 악령 나즈굴이 기거하는 검은 마법의 탑 미나스 모르굴, 프로도와 샘 그리고 골룸은 사악한 어둠의 땅 모르도르에서 반지를 없애기 위한 최후의 발걸음을 재촉하고, 나즈굴의 지도자인 마왕과의 직면을 피해 목적지에 당도해야 한다. 거칠고 무시무시한 사우론의 테마가 위협적으로 들리고, 5/4박자의 상징적인 금관 악기 반주가 마법사 사루만의 불길한 기운이 도사리고 있음을 전해준다.
07. The ride of the Rohirrim(로히림의 질주) (2:08)
로한의 왕 세오덴은 한편 곤도르를 구하기 위해 대규모 기병대를 이끌고 전장으로 나서고, 로한의 테마가 더욱 강력한 타악기의 보조를 받으며 웅대한 관현악 협주로 대전투를 예고한다. 지시 곡은 이내 부드러운 아이리시 휘슬 반주와 함께 호빗 메리 브랜디벅이 전투 대열에 참여할 것임을 암시한다.
08. Twilight and shadow(황혼과 그림자) (3:30)
엘프 아르웬을 위한 묘사로 그녀가 백성들과 함께 회색 항구로 떠날지 아니면 중간계에 남아 미래의 아라곤 왕을 위해 헌신할 것인지, 이와 연관하여 곡을 구성했다. 르네 플레밍의 독창이 매우 영묘한 매력으로 다가온다. 낭만적인 현악과 요정의 도시 리븐델을 아르페지오로 엮은 화음이 천상의 분위기를 강조한다. 이 작품은 < 두 개의 탑 >의 'Evenstar', 아르웬이 아라곤에게 준 보석을 묘사한 악상을 재연하며 가장 사랑스러우면서도 아픔을 간직한 곡조로 마무리된다.
09. Cirith Ungol(키리스 웅골) (1:44)
프로도와 샘은 모르도르로 가는 샛길을 감시하는 요새로 산의 측면에 엄청나게 가파른 계단을 끝없이 올라야 하는 다른 길을 찾는다. 샘은 골룸이 프로도와 자신을 정상 동굴에 있는 치명적인 함정으로 이끌고 있다고 의심한다. 절대 반지의 테마는 트레몰로 주법에 따른 저음 현으로 연주되고, 호빗 찬송가, 사우론의 테마, 반지원정대에서 'The passage of caradhras'(가파른 절벽 길을 통과하는 장면)의 악절을 포함, 여러 주제를 불완전하게 혼합한 화음 전개로 끝난다.
10. Anduril(안두릴) (2:35)
아라곤의 선조 엘렌딜이 휘두르던 전설의 명검 나르실의 조각을 엘론드가 재가공해 아라곤에게 준다. 쇼어는 < 두 개의 탑 >에서 요정들의 거점 르븐델 테마와 엘프의 악상을 미미하게 재연하는 한편, 의기양양하고 강력한 테마를 써냈다. 천사와 같이 영묘한 여성합창과 고조하는 현악, 웅비하는 금관악 협연이 상실과 슬픔을 희망과 기대로 변화하게 한다.
11. Shelob's lair(암거미 쉴롭의 동굴) (4:07)
프로도와 샘은 고대의 사악한 거미의 은신처로 인도되고, 골룸이 어둠 속으로 피신하는 동안 프로도는 거미의 독침에 쏘여 거의 죽을 뻔 한다. 샘이 뒤쫓아와 검과 성수로 거미를 물리치고 프로도를 구하는 장면까지 쇼어는 < 세븐 >과 < 양들의 침묵 >과 같은 서스펜스 스릴러 장르 영화에서 쓴 음악과 유사한 악보를 써냈다. < 반지원정대 >의 'Knife in the dark'를 연상케 하는 악상은 무시무시하고 끊임없이 숨통을 조이는 위협으로 점철되어 있으며, 변박을 통한 장면 전개와의 합이 명장면 연출에 큰 몫을 차지한다.
12. Ash and smoke(재와 연기) (3:25)
절대 반지를 파괴하기 위한 마지막 단원, 반지를 다시 쟁취하려는 골룸과 프로도 간에 싸움이 벌어지고 위기에 처한 프로도를 구출하려는 샘의 노력이 이어진다. 용암이 분출하는 운명의 산이 요동하고 골룸과 함께 절대 반지는 용암 속으로 흔적 없이 사라진다. 오크 군대와 사우론, 그리고 그의 호위 병사 나즈굴의 본거지를 배경 무대로 한 만큼 오케스트라는 불안과 공포를 대기에 주입하고, 으스스한 소년 합창단의 성악이 사악한 반지의 외침처럼 등장한 후, 진군가와 같은 관현악 협주로 마무리된다.
13. The fields of the Pelennor(펠렌노르 평원) (3:26)
펠렌노르 평원에서의 거대한 전투는 진군을 알리는 전쟁의 북소리에 맞서는 로한의 테마를 선봉으로 속도와 박자를 높여 결사항전의 의지를 표출한다. 쇼어는 < 반지원정대 >에서 고대 전투를 위해 쓴 음악과 같은 소리의 질료를 재동원해 이 전투가 중간계에서 이전에 있었던 전투와 동급 규모로 전개될 것임을 암시한다.
14. Hope fails(희망이 없다) (2:20)
오크 대군의 공격으로 인류 최후의 보루 미나스 티리스가 위협받는 동안, 이성을 잃은 데네소르는 중상을 입은 아들 파라미르를 내부 성소에 있는 장례식 장작더미 위에 올려놓고 제물로 바치려 한다. 밖에 갇힌 피핀은 필사적으로 그를 막으려 하고, 음악은 쓰러진 파라미르에 대한 슬픈 애가(아마도)로 시작하여 그의 아버지가 장작불을 가지러 가는 동안 불협화음과 상당히 어둡게 변주한다.
15. The black gate opens(검은 문이 열리다) (4:01)
제임스 골웨이 경의 플루트 연주가 로한의 병사로서 메리의 공적을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영웅적이면서 반지원정대 주제를 환기하게 한다. 회색 항구에 대한 쇼어의 테마를 암시하며 마무리하는 곡.
16. The end of all things(모든 것의 끝) (5:12)
절대 반지를 파괴하는 최후의 순간, 용암 속으로 반지가 녹아 들어가고, 골룸도 운명을 같이한다. 절벽에 매달린 프로도에게 손을 뻗어 온 힘을 다해 구해낸 샘, 둘은 무너져내리는 화산을 빠져나와 바위에 몸을 뉘고, 이제 모든 것이 끝났음을 알린다. 대규모 합창단과 쿵쾅거리는 타악기, 관현악 협주가 기세등등하게 고양하고, 소년 소프라노와 합창단의 성스러운 합창이 반지의 테마와 함께 서사극의 대미를 웅대하게 마무리한다.
17. The return of the king(왕의 귀환) (10:14)
중간계에 다시 평온해지고 안정을 되찾는다. 시리즈 전체의 주요 주제들이 재연되고, 비고 모텐슨이 왕권을 되찾은 것에 대해 노래하고, 호빗의 찬송가가 마지막으로 고조하며 마침표를 찍는다. 소년 합창단의 성스러운 영창이 엘프 요정들의 호위를 거든다. 호빗을 위한 아일랜드 켈트 음악의 민속적인 후주에서 귀향의 즐거움과 끝이라는 아쉬움이 교차한다.
18. The grey havens(회색 항구) (5:59)
새로운 세계로 떠나는 프로도의 여정에 대해 쇼어는 평화로우면서 경외심을 불러내는 테마를 새롭게 뽑아냈고, 소년 합창과 함께 영적인 감흥을 강조하고, 아이리시 휘슬과 느린 현악 반주로 긴 여운을 남기는 이 곡은 자연스레 영화의 대미를 장식한 애니 레녹스의 가창 곡으로 이어진다.
19. Into the west(서쪽으로) (하워드 쇼어, 프랜 월시, 애니 레녹스 작사 작곡, 애니 레녹스 노래) (5:49)
종영인물자막과 함께 흘러나오는 노래 'Into the west'는 어쿠스틱 기타와 현악 반주가 전통민요처럼 느껴지는 팝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