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타이틀 < Me? >부터 이 음악들은 '자신'의 힘으로 만들고, '자신'의 목소리로 부를 것임을 선포한다. 실제로 박진영과의 몇 번의 대전(?!)을 거치고 결국 자신의 뜻 그대로, 자신이 주체인 음악을 내놓았다고 전해진다. 기획사와의 치열한 전투는 '원더걸스' 나아가 '타의에 의해 노래하는' 인형같은 아이돌과 결별을 이뤄냈다. 물론 박진영의 우려대로 그의 앨범이 대중들과는 거리가 멀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그의 솔로 앨범의 의미는 '완성도 높은 수작'이라는 것과 만든 이의 '자의'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아티스트와 아이돌의 -식상하지만 분명한- 구별점은 바로 이것이 아니었던가.
신보에 담긴 일곱 곡은 모두 다른 장르와 구조로 만들어졌다. 전반적으로 멜로디가 선명하고 구성이 다채로우며 편곡까지 섬세해 어느 하나 뒤처지거나 걸림없이 완성도가 높다. 첫트랙 'Iron girl'은 자신에 대한 편견과 이를 정면으로 되받아치는 당당한 포부이며 이어지는 'Truth'는 트립합으로 무장하며 자신의 기량을 마음껏 드러낸다. 'Ain`t Nobody'에서 'Nobody'의 반복은 원더걸스에 대한 오마쥬처럼 반갑기도 하고 둔탁하고 느린 덥스텝은 통속적인 러브송과 확실히 선을 긋는다. 007메인테마를 변형해 빈지노와의 절묘한 어울림을 보여주는 'Bond'를 지나 시종일관 무거운 흐름 속에서 화사한'Wherever Together'이 건강한 전환점이 된다. EDM의 안정된 구현은 핫펠트의 색이 한정적이지 않다는 가능성을 던진다. 목소리가 주가 되는 어쿠스틱한 음악'Peter Pan'과 '다운'도 안정되게 소화하며 자신의 넓은 스펙트럼을 한껏 펼친다.
때로는 개성 있고 명도가 낮은 여성 아티스트, 이를테면 시아(Sia), 라나 델 레이(Lana Del Rey), 뱅크스(Banks)등과 분위기가 겹쳐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비교대상이 예전과 확연히 달라졌다는 것만으로도 그의 '변신'이 어느 정도 안정적이고 성공적이라는 반증이기도 하다. 다행인 것은 핫펠트의 음악이 누군가의 '흉내'나 '차용'이 아니라 자신의 속에서 끄집어내 빚어진 '진짜'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런 노력을 당당하게 JYP의 이름으로 내놓은 점, 이슈나 마케팅이 아니라 음악을 정면으로 돌파한 점은 고무할만하다.
“누군가는 말했지 넌 평범할 뿐이라고 누군가는 말했지 넌 이제 끝났다고 ....... 끝났다구? 누가 그래 이건 끝내주는 음악” 'Iron Girl 중에서'
1. Iron Girl (Feat. 혜림 of Wonder Girls)

(작사 예은, 이우민, 혜림, 술제이(SOOL J) / 작곡 예은, 이우민)
2 Truth

(작사 예은, 이우민 / 작곡 예은, 이우민)
3. Ain`t Nobody

(작사 예은, 이우민 / 작곡 예은, 이우민)
4. Bond (Feat. Beenzino)

(작사 예은, 이우민, 빈지노(Beenzino), Monty Norman / 작곡 예은, 이우민, Monty Norman)
5. Wherever Together

(작사 예은, 이우민 / 작곡 예은, 이우민)
6. Peter Pan
(작사 예은, 이우민 / 작곡 예은, 이우민)
7. 다운 (Nothing Lasts Forever)
(작사 예은, 이우민 / 작곡 예은, 이우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