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히 알려져 있는 능수능란한 정엽의 보컬과 이를 잘 뒷받침하는 싱어송라이터 에코 브릿지(Eco Bridge)의 깔끔한 편곡의 미학이 신보 전반에 살아있다. 피아노와 현악 편곡이 주를 이루는 잔잔한 음률 위로 담백하게 가성 창법을 구사하는 타이틀 곡 '우리는 없다'는 의심의 여지없는 정엽 표 발라드 넘버. 그러나 우리가 들어 온 익숙한 발라드 곡보다도 주목해야 할 부분은 나머지 세 트랙에 존재한다.
두 파트로 나뉜 제작 테마에서부터 알 수 있듯 < Part 1 : ME >과 < Part 2 : 우리는 없다 >는 사운드에서부터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비감(悲感)을 표현하기 위해 전체의 분위기를 한층 다운시켰던 전작과는 달리 이번 앨범에서는 연인 사이의 만남과 애틋함, 마찰 등을 그려내기 위해 각양각색의 표현 방식을 사용했다. 톡톡 튀는 리듬이 돋보이는 '우리 둘만 아는 얘기'와 흥미를 유발하는 퍼커션 라인 위에 브라스 세션을 얹은 '웃기고 있어'는 이러한 특징을 잘 나타내는 증거로 아티스트의 레퍼토리를 넓혀줄 소중한 트랙들이다.
다각화된 사운드에 앞서 귀를 잡아끄는 것은 역시 정엽의 보컬이다. 높낮이를 자유자재로 오가는 그의 목소리는 편곡의 절제된 범위 내에서도 무한한 매력을 드러낸다. '우리는 없다'와 같은 발라드에서의 부담 없는 담백함은 물론 '웃기고 있어'에서의 힘을 조절하는 역량 또한 팬들의 소구력을 유지시키기에 모자람이 없다. 여기에 가볍게 고음을 훑는 '아..너였구나'에서의 보컬은 흥겨움을 유발하는 펑크(funk) 리듬과 더불어 곡을 음반에서 가장 매력적인 트랙으로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사람들의 기대를 항상 만족시키던 재주 넘치는 보컬은 여전하고 에코 브릿지와 결성한 작곡 듀엣 허니듀오(Honeydew'o)에서의 협업도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 다채로운 사운드로 듣는 재미까지 더했으니 입지를 단단히 구축한 솔로 뮤지션의 음반으로서는 모자람이 없는 결과물이다. 그러나 시간의 간극은 피할 수 없는 신보의 취약점이다. 1년이 넘는 시간은 호흡의 텐션을 늘여놓기에 충분한 악재다. < Part 1 : ME >와의 유기성이 결여되었다는 점에선 다소 아쉬운 작품이다.
-수록곡-
1. 아..너였구나

2. 우리 둘만 아는 얘기
3. 웃기고 있어

4. 우리는 없다.
5. 아..너였구나 (Postino Rem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