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K-POP
      • Someday
        2008
        윤하(Younha)
      • DATE : 2008/08   |   HIT : 28741
      • by 이대화
      • 사실 걱정이 앞섰다. 토이의 '오늘 서울은 하루 종일 맑음', 에픽 하이의 '우산'이 히트하면서 윤하는 단기간에 너무 빨리 소비되어 버렸다. 신인은 신선함이 생명임을 감안할 때, 이미 남의 곡을 통해 다 소진된 윤하의 캐릭터를 대중들이 굳이 간발의 차를 두고 발표된 정규 앨범에서까지 찾을까 우려되었다.

        신보는 그 우려를 불식시킨다. 그것도 아주 말끔히 씻어버린다. 고조된 불안이 해소되었다는 건 그만큼 음악이 좋다는 뜻이다. 연거푸 3번을 들은 뒤 이 앨범이 지금껏 윤하가 발표한 최고의 작품임을 확신했다.

        일단 보컬이 발군이다. 에너지에 넘치면서도 안정되었으며, 어린 나이에도 불구 묘한 기품이 서려 있다. 당차고 귀여운 용모에 어울리는 패기 있으면서도 유쾌한 감정 선은 듣고 있으면 일단 기분이 좋아지게 하는 마력이 있다.

        'Strawberry days', '빗소리' 같은 센티한 곡에서는 능숙하게 보이스 컬러를 바꿔 훌륭한 발라드 가수가 된다. 이때도 과도하게 울거나 하는 것 없이 깨끗하면서도 힘 있는 호소력을 전달한다. 워낙 보컬이 좋으니 평균적인 선율이라도 그 매력에 한층 탄력을 더한다.

        앨범은 크게 2부로 나뉘어 있다. 첫 곡인 'Gossip boy'에서 타이틀곡 '텔레파시'까지는 본래 자신의 주특기였던 '록'이 주도하고, 'Rain & the bar'에서 빗소리와 재즈 연주가 흐르면 그 뒤로는 애틋한 감성 발라드가 주도한다. '비밀번호 486'에서 충분히 인정받은 유쾌한 록 질주와 토이의 '오늘 서울은 하루 종일 맑음' 이후 본격 부각된 감성 발라드를 크게는 2부, 작게는 적절한 주고받기 배합으로 배치했다. 윤하의 다양한 가능성들을 속속들이 맛보면서 감상이 너무 지루해지지도 않도록 훌륭히 짜여 있다. 거창한 '컨셉' 앨범까지는 아니지만, 이게 '앨범' 듣는 맛이다.

        윤하는 스스로 “요즘 사람들이 끈기가 없다. MP3 발달로 스킵해서 음악을 듣는데 전곡을 차례대로 들을 수 있도록 스토리를 담아봤다.”고 말한다. '싱글' 시대에 사라져 가는 '앨범' 미학을 되살려 보겠다는 의지다. 디지털 싱글 하나로 쉽게 스타덤을 얻어 예능에서 그 인기를 확대재생산하는 지금 음악 산업 구조 속에서 보자면 일종의 '도발'이다. 그것도 참 예쁘고 기특한 도발.

        대담함은 앨범 속에 반영시킨 록의 강도에서도 드러난다. 윤하는 시작부터 내리 4곡을 강성의 록으로 밀어 버린다. 특히 'Hero' 같은 곡은 '비밀번호 486' 때와는 차원이 다른 볼륨 업 노래다. 이렇게 격정적인 질주를 어린 주류 스타가 보여준 예는 없었다. 늘 사납고 까칠한 음악을 싫어했던 우리 음악계에 정말 겁 없이 들이댔다. 거의 오열하듯 쳐대는 피아노 연주도 그 동안의 주류 판에서는 듣기 힘든 것이었다.

        '빗소리'에서는 재지하고 컨트리의 풍미를 잘 살린 발라드를 들을 수 있다. 우리가 익히 들어 질려버린 주류 가요의 발라드 흐름을 윤하는 의도적으로 한 발짝 벗어난다. 빗겨가고 배제하지만 그러나 대중성을 잃지 않았다. 흡사 노라 존스(Norah Jones)를 듣는 듯 달콤하다. 이게 멋지다.

        유일하게 아쉬운 것은 타이틀곡 선정의 가벼움이다. 같은 스타일이라도 'Gossip boy' 같은 좋은 곡이 있는데도 굳이 통속성을 노골적으로 강조한 '텔레파시'를 내세울 이유가 없다. 곡의 퀄리티가 상대적으로 덜함을 본인도 알 텐데, 너무 대중을 대하는 마음이 조급했던 건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잘 만든 앨범임에도 그것을 대표하는 곡이 스스로 가진 완성도와 깊이를 전혀 보증하지 못하고 있다. 아쉬운 선택이다.

        '텔레파시'를 제외하면 앨범 수록곡들 모두가 기대 이상이다. 특히 틴 로맨스와 유쾌한 로큰롤이 만난 'Gossip boy', 조규찬이 작곡한 'Strawberry days', 타블로가 작곡과 피처링에 참여한 '기억'은 모두 싱글로 발표되어도 관계없을 베스트 트랙들이다. 직접 작곡하고 부른 '미워하다'도 크게 부각되어 들리지 않을 뿐 문제없이 귀에 잘 감긴다.

        주류 음악계에서 간만에 만난 '빛나는' 앨범이다. 이 성과는 작금의 '과거 지향' 가요계에 '현재성'의 신선함을 던진다. '음악성'의 배고픔을 1990년대 스타들에 빚지고 사는 중인 우리 세대에게 21살 팔팔한 신인이 그 대체 상품을 내놓았다. '리메이크'와 '귀환' 화제들에 가려진 1980년대 생 뮤지션들의 지금 감성의 힘을 당당히 각인시키는 앨범이다.

        스타 만들기에 급급해 쉽게 써버리곤 하는 '차세대', '유망주' 같은 말을 이 앨범에서야 오랜 만에 부끄럽지 않게 쓴다. 앞으로의 행보가 더 기대되는 윤하. 역시 좋은 음악은 '현재' 속에서 나왔을 때 가장 기쁘다.

        1. Gossip boy
        2. 기억 (Feat. 타블로)
        3. Hero
        4. Someday
        5. 텔레파시
        6. Rain & Bar
        7. 빗소리
        8. Rainbow
        9. Best friend
        10. Strawberry days
        11. For Catharina
        12. 미워하다
        13. My song and...
        14. 울지마요
        15. 기억 (Original version)
        16. 텔레파시 (Instrumental)
        17. 미워하다 (Instrumental)
      • 2008/08 이대화(dae-hwa82@hanmail.net)
      • 앨범 리뷰
      • Younha 6th Album ‘End Theory’ 윤하 손기호 2021 18342
        Younha 6th Album ‘End Theory’ 윤하 IZM 2021
        Unstable Mindset 윤하 손기호 2020 11104
        Stable Mindset 윤하 손기호 2019 5693
        RescuE 윤하 김도헌 2017 12908
        Subsonic 윤하 김도헌 2013 11423
        Just Listen 윤하 왕민아 2013 12351
        Supersonic 윤하 황선업 2012 24538
        Lost In Love 윤하 임도빈 2010 11884
        ひとつ空の下(한 하늘 아래) 윤하 황선업 2010 13579
        3rd Album Part.B ‘Growing Season’ 윤하 이대화 2009 18331
        3rd Album Part A : Peace Love & Icecream 윤하 이대화 2009 13991
        Someday 윤하 이대화 2008 28741
        혜성 윤하 윤지훈 2007 13759
        고백하기 좋은 날 윤하 윤지훈 2007 16576
      • 싱글 리뷰
      • 내 마음이 뭐가 돼 윤하 정유나 2014 6256
        아니야 윤하 이수호 2013 6306
        It's beautiful 윤하 여인협 2011 8034
        ソラトモ~空を見上げて(하늘친구~하늘을 올려다봐) 윤하 이건수 2010 11331
        오늘 헤어졌어요 윤하 성원호 2009 15264
        사랑하다 윤하 이대화 2009 12770
        텔레파시 윤하 윤지훈 2008 12180
        첫눈에 윤하 박효재 2008 10405
        혜성 윤하 배강범 2007 11175
        비밀번호 486 윤하 임진모 2007 12874
      • 아티클
      • 윤하 인터뷰 윤하 김도헌 20587
        윤하 인터뷰 윤하 김반야 17627
        윤하 인터뷰 윤하 황선업 25774
        윤하 인터뷰 윤하 윤지훈 22345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나상현씨밴드
        노래나 부를까
        • [Album] O, Pruned
        • [Album] 기억의 파편
        • [Single] 노래나 부를까
        • [Single] 부동의 첫사랑
        • [Single] 황금가면
        • [Single] OK
        • [Single] 퀸카 (Queencard)
        • [Album] 10,000 Gecs
        • [Feature] 티나 터너, 용맹하게 살고 당당하게 떠나다
        • [Album] Unforgiven
        • [Album] Rose
        • [Album] That! Feels Good!
        • [Album] D-Day
        • [Feature] 피프티 피프티 ‘Cupid’가 영미 차트에 명중한 음악적 이유를 쏘아보다!
        • [Feature] 원 버번, 원 스카치, 원 뮤직. 위스키 송 13선
      • 인기 콘텐츠
      • <I've IVE>

        아이브(IVE)

        <W.A.Y>

        트라이비(TRI.BE)

        <Assemble>

        트리플에스(tripleS)

        <Ready To Be>

        트와이스(TWICE)

        <My World>

        에스파(aespa)

        <Alone>

        박재정





      • Editors' Choice
      • Machine Boy
        실리카겔
        예상 밖의 실험으로 새 시작을 선언하는 실리카겔. 기계 소년을 세례하는 장대한 마중물이 넘쳐흐른다.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클라우드] EP. 38~9 : 황선업 평론가와 살펴본 J팝 열풍 이모저모 (요네즈켄시,아이묭,서치모스,즛토마요)
        • [뮤직클라우드] EP. 37 : [신보리뷰] 세븐틴, 르세라핌, 에스파, 아...
        • [뮤직클라우드] EP. 36 : [임터뷰] “우울에 얼어붙은 새벽을 함께한 ...
        • [뮤직클라우드] EP. 35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아비치, 투...
        • [뮤직클라우드] EP. 34 : 코첼라 밸리 뮤직 & 아츠 페스티벌(배드버니...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